- 2경923조원 전망…고금리에 차환 발행 비용 증가
[게티이미지] |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올해 선진국들의 국채 발행이 2경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할 전망이다. 세계 각국의 금리 인상으로 이전보다 높은 금리로 차환 발행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이 모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8개 회원국의 올해 국채 발행 예정 물량을 집계한 결과 15조8000억달러(약 2경923조원)에 달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7일(이하 현지시간) 전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국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경제를 부양했던 2020년보다도 큰 규모다.
국채 발행 증가는 이전에 발행한 국채의 만기가 많이 돌아오는 데 주로 기인한다.
38개 회원국 전체의 국채 이자 비용은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2.9%이던 것이 오는 2026년 3.4%로 높아질 전망이다. 이는 정부 재정 지출에 압박을 가하는 요인이 된다.
마티아스 코먼 OECD 사무총장은 "고물가와 긴축적 통화 정책 등 새로운 거시경제 환경이 전 세계 채권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는 차환 발행이 필요한 시기를 맞아 정부 지출과 금융시장 안정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미국이나 유럽의 금리 인하 예상 시기가 늦어지면서 각국의 국채 발행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 올해 초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나 유럽의 유럽중앙은행(ECB)이 모두 최소 6차례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하던 이들은 이제 3~4차례만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는 국채가 많이 발행돼도 시장에서 이를 쉽게 소화했다.
로버트 팁 PGIM 픽스드인컴 글로벌 채권 책임자는 "OECD 국가 부채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에서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한다면 아마도 지난해 가을과 같은 '작은 파동'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해 9월부터 10월 말까지 7주 만에 미국 국채 금리는 연준의 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4.1%에서 5%까지 급등한 바 있다.
그는 "대선 후보들이 재정 부양책을 강화하고 무역 전쟁을 벌이겠다는 공약을 할 경우에도 변동성 심화, 금리 상승, 신용스프레드 확대가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OECD 회원국들의 총 국가채무는 올해 4% 증가한 56조달러(약 7경4172조원)를 기록할 전망이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전년 대비 1%포인트 상승한 8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pin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