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분산투자는 무슨, 그냥 전재산 부을 걸”…엔비디아 7% 급등에 개미들 다시 ‘후회모드’ [투자360]
뉴스종합| 2024-05-29 08:22
젠슨 황 엔비디아 CEO [게티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엔비디아 볼 때마다 후회되네. 거의 1년동안 그 때 살걸 반복하다가 결국 900(달러)에서 4개 샀는데, 그냥 전 재산 다 엔비디아에 투자할 걸 그랬음. 괜히 분산 투자한다고 제약이랑 원전주 샀는데 그냥 엔비디아가 제일 잘 오름.’ (29일 한 온라인 투자게시판)

엔비디아가 28일(현지시간) 7%대로 급등한 가운데 나스닥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1만7000선을 돌파했다. 엔비디아는 지난주 실적발표 후 최근 3거래일 동안 주가가 20% 오르며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뉴욕증시는 주요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지만, 이외 업종에서 매물이 증가하면서 혼조세로 장을 마쳤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32포인트(0.02%) 오른 5306.04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16.73포인트(0.55%) 하락한 3만8852.86, 나스닥종합지수는 99.08포인트(0.59%) 상승한 1만7019.88에 거래를 끝냈다.

나스닥 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1만7000선을 돌파했다. 엔비디아는 이날도 7.13% 상승하면서 시가총액이 2조6000억달러에 육박, 뉴욕증시 시가총액 2위인 애플(2조9131억달러)과의 격차를 3000억달러 수준까지 좁혔다. 엔비디아는 최근 3거래일 동안 주가가 20% 상승하며 S&p500과 나스닥 강세를 견인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 추이 [구글자료]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는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인 xAI가 약 6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해 슈퍼컴퓨터를 구축할 것이란 소식에 AI 칩 수요 증가 기대감 더해졌다”며 “엔비디아의 주가는 올해 약 130%나 상승해 11% 상승한 S&P500 벤치마크를 크게 아웃퍼폼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엔비디아를 제외하면 주요 기술주 7곳을 일컫는 '매그니피센트7'은 이날 보합권에서 좁게 움직였고 테슬라는 하락 마감했다. 우량주 위주인 다우지수는 머크를 비롯한 소비재 업종 약세로 하락 압력을 받았다.

S&P500 지수 내 기업 중에선 350개 이상의 주식이 이날 하락하며 조정을 겪었다. 5월 들어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른 피로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 입찰에서 수요 악화가 확인된 점이 투자심리를 누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미국 재무부는 2년물과 5년물 국채를 1390억달러 규모로 입찰에 부쳤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이날 입찰에서 2년물 국채는 응찰률이 2.41배로 앞선 6번의 입찰 평균치 2.59배를 하회했다. 해외투자 수요인 간접 낙찰률은 57.9%로 앞선 6회의 입찰 평균 63.6%를 크게 하회했고 직접 낙찰률은 25.5%로 앞선 6회 입찰 평균 20.5%를 상회했다. 5년물 국채도 응찰률이 2.30배에 그쳐 앞선 6번의 입찰 평균치 2.41배를 크게 하회했다. 해외투자 수요인 간접 낙찰률은 65.0%로 앞선 6회의 입찰 평균 66.1%를 밑돌았고 직접 낙찰률 또한 15.4%로 앞선 6회 입찰 평균 17.9%를 하회했다.

채권금리가 오르면 통상 기술주에 악재로 받아들여진다. 성장주인 기술주는 고금리 환경에서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닐 카시카리 미국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매파적 발언을 내놓으면서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그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행사에서 "(연준 안에서) 누구도 금리 인상을 공식적으로 테이블에서 치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나조차도 그렇다"고 했다. 금리를 더 오래 동결하는 것이 "더 가능성이 높은 결과"라면서도 "여기서 잠재적인 금리 인상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다만 UBS는 올해 미국 기업들의 이익 성장세가 예상치를 웃돌 것이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의 연말 목표치를 5,600으로 상향 조정했다. 낙관론이 여전히 증시를 지탱하는 분위기다.

미국 증시가 인공지능(AI) 열풍과 탄탄한 기업 실적을 바탕으로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월가의 S&P500 연말 전망치도 꾸준히 상향되는 추세다. 현재 월가의 연말 전망치 중간값은 5300까지 올라왔다.

미국 소비자 신뢰도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미국 콘퍼런스보드(CB)는 5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가 102.0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소비자신뢰지수는 4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했으나 5월 들어 상승세로 전환했다.

개별 주식 중에선 게임스탑이 클래스A 보통주 4500만 주를 추가 매각해 99억3300만 달러 자금을 조달했다는 소식으로 25.16%나 급등했다.

반면 온라인 스포츠 베팅업체 드래프트킹은 일리노이주 상원이 스포츠 베팅세 인상안을 포함한 내년 예산안을 승인 소식이 나오며 10% 이상 하락했다.

US셀룰러는 T모빌이 무선 부문을 인수했다는 소식에 12.19% 뛰었다.

업종별로 보면 의료와 산업 업종이 1% 넘게 하락하며 지수 하락에 일조했다. 반면 기술 업종은 1.38%, 에너지 업종은 1.08% 오르며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dingdo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