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유로존 2년만에 금리인하, 한은 늦지않게 신중 결정해야
뉴스종합| 2024-06-07 11:09

세계 경제 3위권인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이 지난 6일 금리를 인하했다. 캐나다가 5일 금리를 내린 데 이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까지 주요 7개국(G7) 중 4개국이 금리 인하로 방향을 튼 셈이다. 글로벌 금리 향방의 기준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도 9월 첫 금리 인하 전망이 커지고 있다. 우리도 면밀한 검토를 바탕으로 너무 늦지 않게 보조를 맞춰야 한다.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선 것은 물가상승률이 꺽인 게 확인됐기 때문이다. 한때 10% 넘게 치솟던 물가 상승률은 작년 말부터 2%대로 주춤한 상태다. ECB는 올해 유로존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5%, 내년엔 2.2%로 내다봤다. 다행히 물가는 잡혔는데 경기가 걱정스런 상황이 됐다. 지난해 유로존의 경제성장률은 0.4%로 더 악화하기 전에 금리를 내려 급한 불을 끄자는 쪽으로 선회한 것이다. 앞서 캐나다와 스위스, 스웨덴 등이 서둘러 금리를 내린 것도 자칫 경기가 경착륙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금리를 내리면 자본 유출이 예상되는 브라질, 멕시코 등 신흥국들도 저성장 탈피를 위해 공격적 금리 인하에 나서는 등 그 동참대열이 길어지는 추세다. 이제는 물가보다 경기가 더 급하다는 얘기다.

문제는 미국의 향방이다. 물가상승률이 3%대로 목표(2%)에 미치지 못하고 나홀로 성장을 구가하던 미국은 오락가락이다. 지난달만 해도 올해 금리인하는 없다는 매파가 힘을 얻었지만 5월 고용 지표가 시장 전망보다 부진한 걸로 나오자 9월 금리 인하가 다시 대두된 상태다. 연준이 높은 금리를 고수하는 근거인 견고한 고용시장이 흔들리자 경기침체 우려가 고개를 든 것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고용 둔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경우,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는 더 앞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한국은행으로선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2.9%)에 이어 5월 2.7%로 두 달 연속 2%대이지만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3% 이내로 높다. 농산물가격, 국제유가 등 불확실성도 크다. 하지만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서민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이 코로나 때보다 많다고 한다. 소비 여력이 줄어 민간소비 증가율이 지난해 1.8%에서 올해 1.7%로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 결과도 있다. 내수를 살리기 위해선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게 힘을 얻는 이유다.

정책전환이 너무 이르거나 늦으면 제대로 된 효과를 얻기 어렵다. 물가 안정 노력이 헛수고가 되지 않으면서 내수에 활력을 불어넣을 균형적 타이밍을 찾는 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