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FOMC·CPI·엔비디아·애플·테슬라…이번주 글로벌 증시 ‘슈퍼위크’ [투자360]
뉴스종합| 2024-06-10 07:55
왼쪽부터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팀 쿡 애플 CEO, 일론 머스트 테슬라 CEO [게티이미지·연합]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이번 주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주요 물가 보고서 등이 발표되는 ‘슈퍼 위크’를 맞는다. 이같은 대형 이벤트들은 역대 최고가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는 뉴욕증시의 방향성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연준은 오는 11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6월 FOMC를 개최한다. 연준은 이번 FOMC에서 금리를 동결시킬 것으로 거의 확실시된다. 지난주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중앙은행(BOC)은 금리를 인하하며 통화 긴축에서 완화로 방향키를 돌렸다. 앞서 스위스, 스웨덴의 중앙은행도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셈법은 훨씬 복잡하다. 미국의 경제는 다른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지난 5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전월대비 27만2000명 증가하며 월가의 예상을 훨씬 웃돌았다. 5월 실업률이 4%로 오르긴 했지만, 전문가들은 미국의 고용 시장은 여전히 탄탄하다고 평가했다. 뜨거운 미국의 고용 시장은 연준의 빠른 금리 인하를 막는 부담 요인이다. 5월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JP모건과 씨티그룹은 애초 전망이었던 7월 금리 인하론을 폐기했다.

이번 FOMC에서는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와 연준의 경제 전망이 담긴 경제 전망 요약(SEP)이 발표된다. 연준은 지난 3월 점도표에서 올해 금리가 세 차례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이번 점도표에서 올해 금리 인하 전망은 한두차례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의 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이번에 발표될 점도표에서 연준의 인하 전망이 기존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41%의 참가자들은 연내 두 차례의 인하 전망이 나올 것이라고 봤고, 41%의 참가자들은 한 차례, 혹은 인하 전망이 아예 없을 수 있다고 봤다.

공교롭게도 이번 FOMC 결과가 공개되는 12일에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끈적한 상황에서 CPI 보고서는 FOMC의 ‘와일드카드’가 될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은 5월 CPI가 전월대비 0.1%, 전년동기대비 3.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보다 0.3%, 전년동기대비 3.5%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기술 기업과 관련된 일정도 빼곡하다. 엔비디아는 이번 주부터 10대 1로 분할된 가격으로 주식 거래를 시작한다. 한때 시가총액 3조달러를 돌파하며 애플의 시총도 넘어섰던 엔비디아가 주식 분할 후에도 순항할 수 있을지 주목됐다. 이번 주 애플은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를 개최한다. 애플은 이 자리에서 애플 아이폰에 탑재할 새로운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13일(현지시간)에는 테슬라 주주총회가 개최된다. 이번 주총에서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의 77조원에 달하는 임금안 재표결이 이뤄질 예정이다. 현재는 주요 기관투자자들의 반대 의사 표명이 잇따르고 있다.

gi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