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유럽 극우돌풍, 보호주의 대비하고 극단정치 경계해야
뉴스종합| 2024-06-12 11:25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정당이 약진하면서 국제 정치지형이 흔들리고 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도 커졌다. 특히 유럽연합(EU)의 양대축인 프랑스와 독일의 집권당이 극우 세력에 패하면서 역내 정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전격적으로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을 선언했다. 독일에선 연립정부가 야당의 총리신임투표 요구로 붕괴 위기에 처했다. 이번 유럽의회 선거 결과가 오는 11월 치러지는 미국 대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보호무역주의와 정치적 극단주의의 유행이 전세계적으로 심화될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우리나라를 둘러싼 정치·경제·외교 환경이 한층 냉엄해진다는 얘기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유럽의회 선거의 잠정집계 결과 전체 720석 중 극우 성향이 최소 156석(21.7%)을 차지했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의 정당 이탈리아형제들(FdI)이 속한 ‘유럽보수와개혁’(ECR)은 현행 69석에서 73석으로 몸집을 키웠고, 프랑스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RN) 소속 극우 정치그룹 ‘정체성과 민주주의’(ID)는 49석에서 58석이 됐다. 독일대안당(AfD)은 15.9%의 득표율로 올라프 숄츠 총리가 속한 SPD(13.9%)를 이겼다. 프랑스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RN·32%)은 마크롱 대통령이 속한 르네상스당(15.2%)을 두 배 이상 앞섰다.

유럽 극우 돌풍의 원인은 고물가로 인한 경제난과 이민자 급증에 대한 불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고조된 안보 불안감이다. 극우 성향 정당은 공통적으로 강경한 국경통제, 역외 이민자 단속, 자국 산업보호, 기후·환경 규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미 CNBC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이민 문제에서부터 환경, 국방, 산업, EU의 확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정책 전반에 극우 진영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유럽의 ‘우경화’를 심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유정현 주벨기에·EU 대사는 11일 “중도세력의 안정적인 다수 확보와 우파 약진으로 보수 색채와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성·인종·이념·종교 등 ‘정체성’으로 인한 사회 갈등과 분열도 고조될 것이다. 10일 프랑스 전역에선 반(反) 극우 시위가 벌어졌다. 독일에선 옛 동·서독 지역간 정치적 분열이 더 심화된 것으로 선거 결과가 나타났다.

우리로선 보호무역주의의 강화에 단단히 대비해야 한다. 세계 각국의 방위력 증강경쟁과 전쟁·분쟁 가능성에 대비해 독자적인 국방력 강화에도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 극단주의로 인한 사회 분열을 타산지석 삼아야 할 것이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