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조선 패션 아이템 ‘망건’…37년간 만든 전영인 씨, 국가무형유산 된다
라이프| 2024-06-14 10:13
국가무형유산 ‘망건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전영인 씨. [국가유산청]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37년간 전통 기술을 연마한 장인이 국가무형유산 보유자가 된다.

국가유산청은 전영인(55) 씨를 망건장(網巾匠) 보유자로 인정할 계획이라고 14일 예고했다. 그는 할머니, 어머니에 이어 무려 3대째 망건을 제작해왔다.

망건은 조선시대 남자들이 갓을 쓰기 전에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정리하기 위해 이마에 두른 머리띠다. 망건장은 망건을 만드는 장인을 뜻한다.

망건. [국가유산청]
망건. [국가유산청]

망건은 윗부분을 졸라매는 당(살춤), 아랫부분을 졸라매는 편자(선단), 그물처럼 얽혀져 이마 부분을 감싸는 앞·뒤통수를 싸매는 뒤로 구성된다. 계급을 나타내거나 장식하기 위한 장식을 매달기도 한다. 좁고 두껍게 짠 띠인 편자를 짜고, 앞·뒤 부분을 뜨고, 굵은 말총으로 코를 만들어 줄을 거는 순서로 제작이 이뤄진다.

전영인 씨는 어린 시절부터 할머니인 고(故) 이수여 망건장 명예보유자, 어머니 강전향 보유자가 망건을 만드는 모습을 보고 자랐고, 1987년부터 정식으로 기능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2009년 보유자로 인정된 어머니에게도 가르침을 받아 망건 제작 기술을 본격적으로 연마했다.

국가유산청은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무형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유자 인정 여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dsu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