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가다가 멈추던 중국 배에 한방 먹었다…K-조선 추격한 뜻밖의 배경 [비즈360]
뉴스종합| 2024-06-15 11:20
중국 후동중화조선소가 건조한 LNG선 모습. [후동중화조선소 홈페이지 캡쳐]

[헤럴드경제=한영대 기자] 우리나라 텃밭이라고 여겨졌던 글로벌 액화천연가스(LNG)선 시장에서 중국의 존재감이 카타르를 등에 업고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미국과의 갈등으로 인해 중국이 카타르산 LNG 수입량을 늘린 결과 카타르와의 관계가 돈독해지면서 대규모 LNG선 수주에 성공한 것이다. 그 결과 20%대에 그쳤던 LNG선 점유율이 올해 들어서 40%대까지 치솟았다.

15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의 LNG선 수주 물량은 223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 20척이다. 이는 지난해 전체 중국의 LNG선 수주 물량(113만CGT, 13척)을 훨씬 뛰어넘었다.

올해 4월 중국 국영 조선사 중국선박그룹(CSSC)의 자회사인 후동중화조선이 카타르에너지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것이 중국 수주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당시 후동중화조선이 수주한 LNG선은 18척이다.

후동중화조선이 대규모 수주에 성공한 배경에는 중국과 카타르 간 이해관계가 자리 잡고 있다고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과거 미국, 호주로부터 주로 LNG를 수입했던 중국은 미국과의 패권경쟁 등 국제 정세 영향으로 카타르산 LNG 수입을 늘리고 있다. 카타르는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후동중화조선에 LNG선 발주를 넣었다.

중국 기술력이 향상된 점도 대규모 계약에 영향을 미쳤다. 과거 중국이 건조한 LNG선은 운항 도중 멈추는 고장이 발생했을 정도로 품질 측면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이후 중국은 조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LNG를 많이 수입하더라도 기술 경쟁력이 떨어졌다면 카타르도 선뜻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 사 제공 및 123rf]

한국 조선사들은 중국의 대규모 수주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 LNG선 시장에서 우리나라 조선사들은 지난해까지만하더라도 70~80%대 점유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중국이 선전한 결과 한국은 올해 1~5월 300만CGT의 LNG선을 수주, 점유율 57%에 머물렀다. 과거 10~20%대 점유율에 그쳤던 중국은 무려 43%를 달성했다.

우리나라는 전체 선종 수주 실적에서도 기대 이하의 성적표를 받고 있다. 지난달 기준 수주 점유율 10%를 기록, 올해 4월에 이어 2달 연속 10%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국은 점유율 70~80%대를 달성했다.

국내 조선사들은 선별 수주 전략에 따른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미 4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황에서 과거처럼 무분별한 수주 경쟁에 나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국내 조선 3사(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는 올해 3월말 기준 130조원을 훌쩍 넘는 수주 잔고를 확보하고 있다.

국내 조선사들은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벌리기 위해 신기술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이달 초 그리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조선 박람회 포시도니아 2024에서 암모니아, 메탄올 등 친환경 연료 추진 선박을 선보였다. HD현대는 미국선급협회, 라이베리아기국과 선박 내 사각지대를 없앤 미래형 선박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중국의 대규모 수주가 계속 이어질 시 국내 조선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업계는 진단하고 있다.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선박 건조가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란 점을 고려했을 때 건조 경험이 증가할 수록 중국 기술력은 늘어날 것”이라며 “조선 분야에서 중국은 더 이상 추격자가 아닌 경쟁자”라고 말했다.

yeongdai@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