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레져
유인촌, 광장시장 바가지 논란에 “문화 파는 곳, 책임감 갖길”
라이프| 2024-06-15 11:26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유인촌 문화관광부 장관은 서울 광장시장의 바가지 논란과 관련해 “문화를 파는 곳이라는 책임감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과 광장시장 상인의 눈인사

유 장관은 14일 광장시장을 방문해 “전국 지역마다 유명한 시장이 다 있는데 서울을 방문하는 이들이라면 한번쯤 들를 정도로 광장시장은 이미 대한민국의 대표선수가 되었다”고 운을 뗀 뒤, “최근 언론에서 광장시장 요금 등에 대해 보도가 되어 걱정을 하면서 오늘 시장에 직접 와보니, 시장에서 신경을 많이 쓰고 개선 노력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면서 “정비도 잘 되어 있고, 좌판에에서 유니폼과 모자를 쓰고 계시는 모습 등 시장에서 격식을 갖추고 있고, 운영이 안정되어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이 모이는 곳은 항상 말도 많고, 또 어려움도 있다고 생각한다. 결국은 내용이 중요한 것이다. 친절, 가격, 가격 대비 양 같은 부분들은 업체마다 다를 수 있고, 전체적으로 모두 똑같이 하기에는 굉장히 어려움이 있을 거라 본다. 오늘 시장 상인회장님 등 함께 점검을 다니며 말씀을 들어보니 지속적으로 교육과 정화 작업을 통해 정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개선 의지를 호평했다.

유 장관은 그러나 “이제 광장시장은 외국에서도 검색하면 나오고, 꼭 와보고 싶어하며 방문하는 곳이기 때문에 ‘장사하는 곳’으로만 생각해서는 안된다”면서 “단순히 음식이나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닌, 음식 문화, 즉 우리 문화를 파는 곳이라고 보고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해주시길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문화를 파는 곳’ 광장시장의 외국인 손님들

상인회에서 잘하고 있으나, 서울시나 종로구에서 하기 전에 먼저 상인회 차원에서 정비 등 선제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도 전했다.

유 장관은 “점검을 하며 둘러보니, 함께 유니폼을 입고 방문객을 응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면서 “상인 분들이 우리 것(한국)의 느낌이 나는 앞치마나, 한복을 입는 등의 시도를 하는 것도 어떨까 생각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상인회측은 “광장시장에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고, 명소가 되었다. 장관 언급 부분들 개선하려고 하고 상인들에게 교육 중이다”라고 답했다.

서울 종로구청 관계자는 “현재 종로구 주관으로 광장시장 내 판매하는 전 메뉴에 대한 다국어 QR 메뉴시스템을 제작 중이며, 7월말까지 정비 예정이다. 소비자가 노점 테이블 위 QR 코드를 찍으면 노점별로 판매 메뉴와 가격, 판매사진, 구성이 함께 제공되는 홈페이지를 제작 중이다. 음식의 경우, 중량을 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만큼, 실제 음식 사진, 메뉴의 구성을 알 수 있도록 이미지로 제공하고, 가격 표기가 다르다는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가격표기도 정확하게 나오도록 정리 중”이라고 설명했다.

abc@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