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자.통신
라인야후, 네이버와 결별 속도...“연내 시스템 분리”
뉴스종합| 2024-06-19 11:12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에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다. [연합]

라인 애플리케이션 운영사인 라인야후가 네이버와 ‘결별’에 속도를 낸다. 종업원용 시스템과 인증 기반 분리를 연내 마무리 짓겠다고 선언했다. 네이버의 일본 내 위탁 서비스도 종료·축소한다. ‘라인의 아버지’이자 이사회 내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CPO)까지 이사회에서 제외 시켰다. 사실상 네이버와 관계 정리 수순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종업원용 시스템 분리 연내 마무리”...위탁 관계도 종료=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18일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보안 대책 강화와 관련해 “당사(라인야후)는 네이버 클라우드와 종업원용 시스템과 인증 기반 분리를 2024년도 중으로 완료하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당사 자회사는 2026년도 중으로 (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완료를 예정했으나 한층 앞당길 수 있도록 계획을 책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이버와 위탁 관계도 정리 수순에 들어갔다. 이데자와 CEO는 “서비스 사업 영역에서도 거의 모든 (일본) 국내용 서비스 사업 영역에서 네이버와 위탁 관계를 종료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본 포털사이트 야후 재팬 웹사이트 검색개발 인증에서 위탁 협력을 종료하는 것이라고 라인야후는 설명했다.

라인야후는 이날 주총에서 신중호 CPO를 이사회에서 제외했다. 라인야후 사측은 주총에 신 CPO를 제외하는 등 이사회를 7명에서 6명으로 재편하는 안건을 상정해 통과시켰다.

신 CPO는 라인야후 이사회에서 유일한 한국인 멤버이자 사실상 네이버를 대표해 왔다. 신 CPO는 5월 라인플러스 설명회에서 자신이 라인야후 이사회에서 제외된 배경과 관련해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를 언급하고 보안 문제에 자신도 책임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본 관계까지 바뀔까... ‘7월 1일’에 쏠린 눈=라인야후가 네이버와 선긋기에 속도를 내면서 자본 관계에도 변화가 생길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이데자와 CEO는 “당사가 모회사의 자본 관계 변경에 관해 결정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지만, 행정지도에 근거해 모회사 등에 대해 검토 요청을 당사가 하고 있다”며 “이러한 대응에 대해 현 시점에서 결정된 것은 없지만, 자본 관계 재검토를 포함해 무언가 움직임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공표하겠다”고 대답했다.

시장의 관심은 행정 조치 보고 시한인 7월 1일에 쏠려 있다. 라인야후가 ‘네이버 지우기’를 밀어붙이면서 네이버가 결국 A홀딩스(라인야후 지주회사)의 지분을 매각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라인야후는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회사 직원이 사이버 공격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네이버와 일부 시스템을 공유하는 라인야후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조사에서 추가로 개인정보 7만9000건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피해 규모는 총 51만여 건에 달했다.

일본 총무성은 올해 3∼4월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두 차례 행정지도를 실시하며 7월 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하도록 요구했다. 특히 행정지도 내용에 자본 관계 재검토 요구가 포함돼 일본이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권제인 기자

eyr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