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벤처
‘인재절벽’ 시멘트업계, 전문인력 양성 나선다
뉴스종합| 2024-06-19 16:49
시멘트 관련 인력양성 사업설명회가 지난 17일 부산대에서 열렸다. 시멘트업계와 참여대학 관계자들이 협약식을 하고 있다. [시멘트협회 제공]

‘인재절벽’에 맞닥뜨린 시멘트업계가 주요 거점대학과 석·박사 양성에 나선다. 탄소중립 관련 기술 연구개발이 시급한데도 시멘트 관련 국내 연구인력은 1000명도 채 안 돼 비상이다.

19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거점대학과 연계해 전문인력 양성에 나서기로 하고 지난 17일 업계가 부산대에서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협회는 그동안 국내 유수 대학과 협력해 지역별 거점대학을 설정하기로 했다. 한양대(수도권), 공주대(중부권), 부산대(남부권)에서 향후 5년 간 162명의 석·박사를 양성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일환으로 추진된다. 국내 시멘트 연구인력은 2021년 기준 983명이다. 온실가스 감축 대응에 필요한 연구는 고사하고 새로운 기술개발과 우수한 제품 유지 기반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인력 양성사업 거점기관으로 선정된 부산대 최재원 총장은 “이 사업은 국가정책에 부합하고, 재료공학적 접근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사업총괄 시멘트협회 김의철 실장은 “저탄소시멘트 제품 확대, 순환자원 재활용 활성화,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등 자원순환형 생산공정 구현에 필요한 핵심 역할을 맡아야 할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며 “친환경 소재·공정·응용 등 3가지 기술별로 특화 또는 연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 부산대 최재원 총장, 한국세라믹기술원 정연길 원장, 한국시멘트신소재연구조합 이창기 이사장과 시멘트 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유재훈 기자

freiheit@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