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밤 늦게 자는 ‘올빼미형’ 큰일?…‘이 병’ 걸릴 위험 20~40% 높아
라이프| 2024-06-19 20:46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밤 늦은 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올빼미형' 생활습관이 정신건강에 특히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빼미형은 일찍 자는 사람에 비해, 우울증이나 불안 등 정신건강 장애 진단을 받을 확률이 20~4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늦어도 새벽 1시 전에는 잠자리에 들고, 밤에 7~9시간 자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한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행동과학 제이미 자이처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늦게까지 깨어있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올 5월 국제학술지 ‘정신의학 연구’(Psychiatry Research)에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진은 영국의 성인 약 7만4000명의 선호하는 수면시간(크로노타입)과 실제 수면행동을 비교했다.

이 가운데 1만9065명은 ‘아침형 인간’, 6844명은 ‘올빼미형’, 나머지 4만7979명은 ‘중간형 인간’으로 스스로를 식별했다.

연구진은 밤 늦게 까지 깨어있는 올빼미형이 일찍 자는 수면 습관을 가진 아침형 인간이나 중간형 인간 보다 정신건강 장애 진단을 받을 확률이 20%~40% 더 높다고 결론지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정신건강 상태가 가장 좋은 것은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이었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는 자정 이후 깨어 있으면 충동적이고 해로운 행동을 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때문이라고 추측했다.

자이처 교수는 "아침형 인간이 늦게 까지 깨어 있다면 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나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미룰 수 있다"며 "이에 비해 올빼미형은 늦게 까지 깨어있을 때 ‘난 기분이 좋아, 새벽 3시에 내리는 이 결정은 훌륭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자이처 교수는 "야행성 올빼미형은 일찍 자는 습관을 들여 수면패턴을 바꾸는 것이 좋다"면서도 "크로노타입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피츠버그 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매튜 레러 교수는 "새벽 1시 이후 잠자리에 든다면, 해가 뜬지 몇 시간 후에 일어나게 된다"며 "우리 몸은 '아침 햇빛' 형태로 올 수 있는 '낮'이라는 강력한 신호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런 신호를 받지 못하거나 혼합된 신호를 받으면 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과대학 수면의학과 인디라 구루바가바툴라 교수는 "뇌의 전두엽은 기분과 감정조절을 포함해 뇌에서 많은 기능을 담당하는데, 수면 부족에 매우 취약하다"며 "수면부족이나 늦게까지 깨어있는 경우, 부정적인 감정이나 불안이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