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우리만 ‘더’ 더워졌다니…“서울, 30년 간 폭염 일수 73배↑ ” [지구, 뭐래?]
뉴스종합| 2024-06-28 09:17
기상관측 이래 6월 중 가장 더운 날로 기록될 것으로 보이는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도로에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서울의 폭염일수가 30년 새 73.6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가 집중된 세계 20개 대도시 중 가장 가파른 증가세다.

영국의 싱크탱크 국제환경개발연구소(IIED)에 따르면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5도를 넘는 폭염일이 1994년부터 2023년까지 7360% 증가했다. 국제환경개발연구소는 35도를 넘는 날을 폭염일로 봤지만 국내에서는 33도 이상인 날을 폭염일로 기록한다.

지난 30년 간 서울이 35도 이상을 기록한 날은 총 84일로 이 중 50일(60%)이 최근 6년 이내에 집중됐다. 1996~2002년에는 35도를 넘긴 날이 하루도 없었던 반면 기록적인 더위가 찾아왔던 2018년에는 35도를 넘긴 날이 총 21일에 달했다.

[국제환경개발연구소(IIED)]

서울의 폭염일은 전세계에서 가장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분석 대상인 20개 대도시 중 서울의 폭염일수 증가세(7360%)가 가장 컸고 뒤이어 부에노스아이레스(3440%), 자카르타(3200%) 순이었다. 인접한 도쿄와 베이징의 폭염일수는 각각 105%, 3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개 도시 평균 폭염일수 증가세는 52%다.

국제환경연구소는 연간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해 각 도시의 공항에 현장 데이터를 선형 추세 기반으로 분석했다. 1994년 이례적인 폭염이 찾아왔던 서울의 경우 1996년, 부에노스아이레스는 1995년을 기준으로 계산됐다.

이들은 지역사회가 폭염에 적응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터커 랜즈먼 국제환경개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불과 한 세대 만에 세계 최대 대도시의 폭염일수가 놀라울 정도로 증가했으며 도시 열섬 효과로 더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시 계획 법규와 규정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며 “폭염에 대응하려면 대규모 투자를 포함한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ddressh@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