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일반
한 술 더 뜨는 러시아?…“北서 사과·인삼 등 수입 검토하겠다”
뉴스종합| 2024-06-28 10:14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친교를 다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선물한 아우루스 차를 서로 번갈아 몰며 영빈관 구내를 달렸다. 김 위원장은 승용차의 성능을 높이 평가하며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러시아 당국이 북한으로부터 사과·인삼 등 식품 수입을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타스 통신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르게이 단크베르트 러시아 수의식물위생감독국 국장과 김수철 북한 수출입품질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회담을 하고 채소 및 과일 수출입을 포함한 양국의 교육 확대 가능성을 의논했다.

러시아 수의식품위생감독국은 "양자는 특히 채소와 과일 등 제품의 상호 공급과 관련해 무역 거래 확대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언급했다"며 "단크베르트 국장은 러시아가 북한 사과를 수입할 가능성을 확인했고, 김 부위원장은 북한 역시 러시아에 인삼을 수출할 준비가 돼가고 가축과 유제품 거래를 늘리는 데도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고 했다.

이번 논의는 북한과 러시아가 최근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맺은 후 밀착을 강화하는 와중에 이뤄진 것이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북한 방문에서 맺은 이번 조약에는 양국 중 한쪽이 침략을 당하면 군사 원조를 제공하는 내용과 함께 상호 무역과 투자, 과학기술분야 협조를 확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일각에선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경제·기술 지원을 받는 대가로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군수품 제공을 확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에 이도훈 주러시아대사는 최근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교부 아시아태평양차관과 면담, 조약에 대한 우리의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어떠한 협력도 우리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임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러시아 측의 분명한 설명도 요청했다.

러시아 측은 한국 측 대응에 유감을 표한 후 최근 북러 협력은 한국을 겨냥한 게 아니고 해당 조약은 오직 침략이 발생한 경우만을 상정한 방어적 성격의 것이라며 관련 조항 등에 대해 설명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는 "양측은 이번 방북 결과 및 동 조약과 관련해 면담을 기초로 필요한 대화를 지속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상태다.

yu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