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건설 등 내수 부진…수출 중심 경기회복에도 ‘찬물’
뉴스종합| 2024-06-28 10:25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지난달 산업생산과 소비, 투자 등이 일제히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경기 회복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그간 반도체 업황 개선과 제조업 수출을 중심으로 한 경기 회복세가 감지됐으나 나머지 부문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온도차’가 뚜렷해진 데 따른 것이다.

특히 건설경기 부진 속에 내수 개선 속도가 더뎌지면서 경기 불확실성은 한층 더 커졌다. 정부 역시 누적된 수주 부진이 점차 건설업의 실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고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건설업의 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내수 부진을 부채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찾은 시민 및 관광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연합]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과 소비, 투자지수는 모두 한 달 전보다 뒷걸음질치면서 10개월 만에 ‘트리플 감소’를 나타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 3월 2.3% 줄어든 뒤 4월에 1.2% 반등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0.7% 꺾였다. 광공업(-1.2%)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1.1%)이 줄어든 영향이다. 기계장비(-4.4%), 자동차(-3.1%), 1차금속(-4.6%) 등에서 생산이 줄어든 반면 반도체(1.8%)만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주요 업종별로 생산활동이 위축된 흐름 속에서 ‘반도체 독주’만 한층 부각된 셈이다.

소비는 서비스와 재화 모두 부진 양상을 보였다. 동반 감소는 지난해 4월 이후 1년 1개월 만이다. 서비스업 소비를 반영하는 서비스업 생산은 0.5% 감소했다. 도소매(1.9%), 예술·스포츠·여가(5.1%) 등에서 늘었지만, 금융·보험(-2.5%)과 정보통신(-1.6%), 숙박·음식점(-1.7%) 등에서 줄었다.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2% 줄어 두 달째 감소했다. 두 달 연속 감소세는 지난해 3~4월 이후 1년여만으로, 의복과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2.9%) 판매가 위축된 탓으로 풀이된다.

투자 지표 역시 설비와 건설이 모두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4.1% 줄어 석 달째 감소했는데, 항공기·선박 등 운송장비(-12.3%)와 기계류(-1.0%)의 도입 지연이 그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미 이뤄진 공사 실적을 나타내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5.7%)과 토목(-1.1%) 등에서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보다 4.6%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철도·궤도 등 토목(-45.0%)과 건축(-28.9%) 등의 감소에 따라 1년 전보다 35.4% 줄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경기 부진과 고금리, 원자재 수급 불안, 인건비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건설수주는 통상 1~2년 뒤 건설기성 실적을 결정하는 지표라는 점에서 향후 건설경기 회복에 대한 의문도 커지고 있다. 내수의 한 축을 이루는 건설업 등이 제조업 경기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경기 반등이 기대만큼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다. 정부 역시 이날 산업활동동향 평가에서 “건설은 그간의 수주 부진이 점차 실적으로 반영될 소지가 있다”면서 건설수주 부진과 함께 가계부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경기 하방요인으로 꼽았다.

이런 분위기 속에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8로 전월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하락폭은 2020년 5월(-1.0포인트) 이후 48개월 만에 가장 컸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0.5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내렸다. 동행·선행지수 하락세에는 각각 건설기성액과 수주액이 영향을 줬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김귀범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내수는 수출에 비해 회복속도가 더딘 가운데 부문별로 온도가 있다”면서 “정부는 소상공인 등 내수 취약부문을 집중 지원하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 회복에 최우선 역점을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

y2k@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