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北 주장 다탄두미사일 불 붙더니 공중 폭발…軍 폭발 영상 공개
뉴스종합| 2024-06-28 13:40
합동참모본부는 28일 “북한은 26일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비행 중 폭발한 정황이 식별됐다”며 이례적으로 군 감시자산으로 촬영한 영상을 공개했다. 군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한 북한 미사일이 비행중 폭발해 수십여개의 파편으로 흩뿌려지는 모습. [합참 제공 영상 캡처]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다탄두미사일 관련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미사일이 공중에서 폭발하는 순간이 우리 군 감시자산에 영상으로 포착됐다.

합동참모본부는 28일 “북한은 26일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비행 중 폭발한 정황이 식별됐다”며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한 2개의 영상을 공개했다.

우리 군이 TOD 촬영 영상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군이 북한의 주장에 대해 기만·과장에 불과하다고 일축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다탄두미사일 기술이 진일보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끊이지 않자 적극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합참은 “북한은 화성-17형과 유사한 형상의 미사일 발사 사진을 공개하면서 중장거리 고체탄도미사일 1단계 엔진을 이용한 개별기동 전투부 분리 시험과 유도조종 시험을 했다고 주장했다”며 “이에 대해 한미는 실패를 덮기 위한 기만·과장이라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상승단계부터 비정상적인 비행 양상이 식별됐다”며 “이러한 비행 불안정성이 미사일의 폭발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합참이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해 공개한 영상을 보면 북한의 미사일은 발사 직후 상승 초기단계부터 심하게 흔들리다 나선을 그리며 빙글빙글 도는 등 비정상적으로 비행했다.

또 다른 TOD 영상에서는 미사일이 이상비행 중 불이 붙더니 폭파해 산산조각 나 파편이 흩뿌려져 추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군은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이를 감시하고 있었다.

북한이 지난 26일 오전 5시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같은 시각 우리 군의 대탄도탄 감시레이더와 지상 감시자산에 의해 즉각 탐지됐다.

군 관계자는 “북한 주장대로 정상적인 다탄두미사일이었다면 깔끔하게 떨어지지 영상처럼 떨어지지 않는다”며 “영상뿐 아니라 세세하게 공개할 수 없는 정보자산들로 한미가 평가해보니 실패였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분석하려면 항적과 궤적이 나와야 하는데 북한의 미사일은 굉장히 초반에 터져 분석이 제한된다”면서 “한미는 공중폭발로 보고 있으며 북한의 주장이 기만이고 과장이 아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합참이 전날 극초음속미사일로 추정한 배경에 대해서는 “이번에 미사일을 발사한 장소가 최근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해온 장소였다”며 “다른 첩보까지 종합했을 때 극초음속미사일 발사를 시도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너무 초반에 터져서 분석이 힘든 측면이 있다”면서 “극초음속미사일을 포함해 새로운 미사일 가능성도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이 동해상으로 벗어나기 전 폭발해 일부 파편이 지상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28일 “북한은 26일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비행 중 폭발한 정황이 식별됐다”며 이례적으로 군 감시자산으로 촬영한 영상을 공개했다. 군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한 북한 미사일이 상승단계에서부터 비정상적인 비행을 하는 모습. [합참 제공 영상 캡처]

북한은 전날 관영매체를 통해 미사일 기술력 고도화 목표 달성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와 유도조종시험을 실시했다면서 다탄두미사일 관련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개별기동 전투부는 다탄두로 분리돼 표적을 타격하도록 유도제어하는 ‘다탄두 개별목표설정진입체’(MIRV)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한때 북한이 대형 발사체와 함께 소형 탄두, 정확한 유도 등 고도의 기술이 정밀하게 제어돼야 한다는 점에서 ‘궁극의 미사일 기술’로 불리는 다탄두미사일 개발에서 진전을 이룬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가 공개한 사진에서 액체연료를 쓰는 화성-17형의 화염이 직선 형태가 아닌 고체연료가 연소할 때처럼 넓게 퍼지는 형태로 나타나는 등 합성 의혹도 뒤따랐다.

합참은 “북한은 이번에 실패한 미사일의 재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군은 후속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hindw@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