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무기한 휴진’ 2일차…세브란스병원 “진료과 대부분 정상 운영”
뉴스종합| 2024-06-28 13:5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27일부터 일반 환자의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 및 시술 등을 무기한 중단 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서울 신촌세브란스 암병원에서 한 환자가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의 무기한 휴진이 이틀차에 접어든 28일 병원은 큰 혼란 없이 운영 중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의 무기한 휴진 결정에 따라 전날부터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세 곳 병원 소속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휴진을 이어가고 있다.

휴진 동참 여부는 개별 교수의 자율적인 참여에 달렸으며 휴진하더라도 입원 병동과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 필수적인 분야의 진료는 유지한다.

이날 세브란스병원은 무기한 휴진 첫날인 전날에 비해 진료가 조정된 폭이 더 미미하다면서 대부분의 진료과가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브란스병원은 전날 외래진료가 전년 동기 대비 5~10%가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한 바 있다.

병원은 비대위의 휴진에 동참하는 교수들도 있지만, 일부는 여름휴가와 학회 등 개인 사정에 따라 조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조정된 진료에는 대체 인력이 투입되고 있고, 예정된 수술도 무리 없이 진행중인 것으로 병원 측은 보고 있다.

병원 내부에서는 현실적으로 무기한 휴진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예측이 조금씩 나오고 있다. 환자 불편과 불안이 적지 않은 데다 병원 경영진도 집단 휴진을 승인하지 않겠다며 진료를 유지해달라고 당부했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 일평균 외래진료 환자 수는 9000여명에 이른다.

교수들 사이에서는 당장 응급하지 않더라도 중증 환자를 주로 보는 상급종합병원의 특성상 진료를 무기한 미룰 수 없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빅5’ 병원 중 가장 먼저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병원 역시 환자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다며 닷새 만에 철회한 바 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지난 17일 무기한 휴진을 시작했으나 닷새째인 21일 공식적으로 휴진 중단을 선언하고, 진료에 복귀했다.

이 때문에 의료계에서는 세브란스병원 교수들 역시 서울대병원 교수들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겠느냐고 예측한다.

서울시내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그랬듯이 세브란스병원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을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큰 병원은 중증 환자나 지방에서 올라오는 환자가 많은 편이기도 하고, 교수들 대부분은 돌보던 환자를 외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a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