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트럼프 취임 한달②] 트럼프노믹스 향한 두 개의 ‘시선’
뉴스종합| 2017-02-20 10:30
-트럼프 취임 30일 다우 약 4% 올라
-달러 지수는 0.59% 상승
-트럼프, 미 경제성장률 연 3∼3.5% 전망
-국경세 등 제 발등 찍을 우려도

[헤럴드경제=김영화 기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미국 주가와 달러가치는 동반 강세를 보였다. 특히 트럼프 취임 30일간 주가 수익률은 역대 미 대통령 중 5위를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노믹스’(트럼프 경제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그만큼 높았다는 증거다. 대규모 인프라스트럭처 투자와 감세, 규제 완화 등으로 미 경제 성장세에 한층 힘이 실릴 것이란 전망이 주가와 달러가치를 끌어올린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노믹스를 향한 우려의 시선도 만만찮다. 트럼프의 이민규제와 보호무역 등 고립주의 정책은 미국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무역전쟁을 유발해 결국 제 발등을 찍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대규모 인프라스트럭처 투자와 감세에 따른 재정 적자 우려도 가시지 않고 있다. 

[사진=AP연합]

▶트럼프노믹스 기대 업고 주가ㆍ달러 ↑=트럼프 대통령 취임 한달을 맞아 미 경제전문 마켓워치는 역대 미 대통령들의 취임 30일간 주가 성적표를 비교ㆍ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뉴욕증시의 다우지수는 지난 17일(현지시간) 기준 최근 30일간 주가수익률 4.02%를 기록했다. 이는 1905년 테오도르 루즈벨트(6.55%), 1901년 윌리엄 매킨리(5.58%), 1909년 윌리엄 태프트(5.07%), 1945년 프랭클린 루즈벨트(4.13%) 등에 이어 역대 5위의 성적표다. 이 기간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푸어스(S&P) 500지수는 3.52% 올랐다. 이 역시 역대 대통령 중 5위 수준이며, 1997년 빌 클린턴 대통령의 연임 시절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약(弱) 달러 유도를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구두 개입에도 불구하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산정하는 달러인덱스(DXY)는 이 기간 0.59%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주가ㆍ달러의 동반 강세는 트럼프노믹스에 따른 경제 성장 전망을 반영한 결과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경제팀은 향후 10년간 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연간 3∼3.5%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기존 미 경제성장률은 물론 향후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미 경제성장률은 평균 약 2%를 나타냈다. 또 미 의회 예산처(CBO)는 2021∼2027년의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로,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장기 성장률을 1.8%로 추산하고 있다. 웰스파고캐피탈매니지먼트의 짐 폴슨 수석 전략가는 “미 경제가 감세와 규제 완화, 정부 재정지출 확대 등 시장의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을 부활시키는 여러 요소들이 합쳐지는 상황을 처음으로 맞고 있다”고 말했다.

▶국경세 등 제 발등 찍을 우려도=반면 트럼프 정부의 장밋빛 경제 전망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찮다.

하버드대 데일 조르젠슨 교수는 “연 3% 성장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미국 노동력의 고령화와 노동자 교육의 정체로 경제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르젠슨 교수는 “앞으로 10년간 미 GDP가 1.8%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세제개편안 같은 주요한 정책 변화를 통해 성장률을 2.4%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봤다.

특히 트럼프 세제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대규모 감세 기대로 주가가 오르고 있지만, 너무 앞서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웨드부시 증권의 이안 위너 이사는 “투자자들이 트럼프 정책 중 법인세 감면 등 좋은 면만 보고, 국경세 등 위험 요소는 평가 절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출품 과세를 면제하고, 해외에서 수입한 제품에만 세금을 매기는 국경세는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무역 전쟁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2017∼2018년에는 성장률을 소폭 끌어올릴 수 있지만, 무역과 이민 제한이 발동하면 성장세를 짓누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적자가 트럼프노믹스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지난달말 CBO는 미 연방정부의 재정 적자는 향후 10년 동안 10조 달러 가량 증가, 미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89%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피터G. 피터슨 재단의 마이클 피터슨 회장은 “새 정부와 내각이 들어섰지만 변하지 않은 한 가지는 우리 나라의 재정 전망이 지속불가능한 상태라는 점이다”라고 지적했다.

달러 향방도 눈여겨볼 변수다. 만약 미 금리 인상이 본격화해 달러 강세가 가속화하면 트럼프 경제정책의 효과가 반감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를 우려한 트럼프가 구두 개입 등으로 약달러를 유도할 경우 수출 업체에는 호재지만,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력 약화로 이어질 소지도 있다.

/bettykim@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