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60주년 기념…백령도·철원서 펼쳐진 2편의 전시회

‘황해’에 띄운 유리병 편지, 北의 그대여 받으셨나요

매일매일 첨단 디지털기기를 손에 쥔 채 글로벌한 생활을 영위하지만 우리에게 ‘분단’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이슈다. 잊고 싶지만 우리에게만 특별히(?) 부여된 ‘분단’이란 과제를 다룬 두 건의 전시가 대한민국 최북단 백령도와 철원 DMZ 접경지역에서 나란히 개막됐다. 정전 60주년 기념전시이자, 지구촌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국에서만 가능한 이 특별한 전시를 찾아가봤다.

▶北 황해도와 13㎞ 떨어진 최북방 백령도에서 펼쳐지는 평화의 미술제=인천 연안여객터미널에서 뱃길로 4~5시간이 걸리는 백령도는 북한 황해도 장산곶과 불과 13㎞ 떨어진 최북단 섬이다. 포(砲) 소리가 시도 때도 없이 귀를 얼얼하게 하고, 섬 전체에 철조망과 초소가 늘어서 있으며 1만여 주민 중 절반이 해병대원인 이곳에 예술이란 꽃이 활짝 피었다.

백령도 곳곳의 대피소와 철조망, 유서 깊은 성당과 병원, 심청각 등에서 정전 60주년을 기념한 ‘백령도 52만5600시간(1953~2013)과의 인터뷰’가 지난 27일 개막됐다.

‘황해’에 띄운 유리병 편지, 北의 그대여 받으셨나요

정전 이래 52만시간 동안 백령도에 켜켜이 배어 있는 섬 주민들의 이야기와 역사에 주목한 60여 작가의 작품이 곳곳에 내걸림으로써 섬 전체가 예술품이 된 것이다. 예술가들은 분단과 휴전의 의미를 곱씹으며, 대한민국 국민의 또 다른 삶의 터전인 백령도가 평화의 섬으로 안착되길 소망했다.

미술가 김기라(39)는 제7대피소에서 ‘이념의 문제-북으로 보내는 편지(황해)’라는 10분짜리 영상 작품을 상영 중이다. 작가는 미지의 북녘 동포에게 “냉면을 먹다가 당신 생각이 나 편지를 적습니다. 평양냉면. 남한에서 ‘평양’이란 이름이 이렇듯 친근하게 불리는 게 또 있을까요? (중략) 맛에 대한 공감은 같은 기억의 공유가 아닐까요? 이건 우리가 한 핏줄이고, 한국말을 사용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라고 생각합니다”는 편지를 써서 유리병에 담았다. 그리곤 이달 초 그 유리병들을 백령도 사곶해수욕장에서 띄워 보냈다. 그 장면을 찍은 영상이 ‘…북으로 보내는 편지’다.

7대피소 외벽에는 이지수(25)의 텍스트 작품이 내걸렸다. ‘나오쇼 나오쇼 나오지마쇼 나오지마쇼’라는 뚱딴지같은 글귀에 대해 작가는 “소설집 ‘백령도의 추억’ 중 김용성의 소설에서 발췌한 글귀로, 한국전쟁 직후 감방에서 간수의 눈을 피해 포로들이 나누는 대화다. 위험과 안도가 거듭되는 그 상황이 백령도와 맞아떨어져 택했다”고 했다.

백령도 내 예술레지던시에 체류 중인 재일교포 작가 김수미(34)는 백령초등학생 100명과 조화를 만들어 해병대관사 철조망에 매달았다. 집 안의 헌옷으로 만든 색색의 장미꽃 조화들은 철조망 위에서 찰랑대며 팍팍한 이산의 삶을 운위해온 실향민들을 위무하고 있다. 이는 또 초긴장의 삶 속에서도 긍정의 일상을 영위하는 백령도민에게 보내는 꽃다발이기도 하다. 중견 작가인 이종구, 오원배, 서용선, 이인, 윤석남 등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또 함경아, 리경, 이이남, 공성훈 등도 저마다 독특한 작품들을 쏟아냈다.

백령도에서의 전시( ~8월 7일)가 끝나면 인천아트플랫폼으로 옮겨져 10월 6일까지 후속 전시가 열린다.

‘황해’에 띄운 유리병 편지, 北의 그대여 받으셨나요

▶경계의 의미를 재해석한 철원의 ‘보더라인전’=철원 DMZ 접경지역의 민통선 초소 등에서 열리는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 2013’은 올해로 두 번째로 열리는 미술제다. 지난해 7월 DMZ 안보관광 코스를 중심으로 열려 큰 호평을 받은 데 이어 올해는 국내외에서 총 23명의 작가(팀)가 ‘경계’의 의미를 천착했다.

본래 DMZ는 무장이 허용되지 않는 군사 완충지대를 가리키나, 현재의 DMZ는 본뜻과는 달리 완전히 무장돼 지구상 그 어떤 지역보다 격렬히 대치하고 있는 곳이다. 특히 철원 DMZ는 총연장 248㎞에 달하는 한반도 DMZ 중 80㎞를 품은 넓은 땅으로, 지금은 현대사의 아이러니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때문에 세계 예술계가 주목하는 곳이다.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는 이 같은 아이러니에서 출발해 철원 지역의 역사, 분단과 정치, 경제 등 다층적인 측면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올해는 DMZ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경계’에 주목한 작품들이 철원 곳곳에 설치됐다. 정연두는 블록버스터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장면을 재해석한 재기 발랄한 사진 작업을 내놓았다. 작가는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 한반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3월 DMZ 철책선 내에서 직접 사진촬영을 시도했는데, 고요하다 못해 냉혹해 보이는 현실과, 과장된 영화적 픽션 사이의 간극을 예리하게 표현하고 있다.

철원 일대에서 수집한 묵직한 현무암들을 DMZ평화문화광장에 늘어놓은 구정아의 설치 작업은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작가는 철원이 지닌 근본적인 낯섦을 무덤덤한 돌덩이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9월 22일까지.

yrlee@heraldcorp.com

‘황해’에 띄운 유리병 편지, 北의 그대여 받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