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은행채 10조4996억
1분기는 발행액보다 상환액 더 많아
발행액도 1분기 대비 2배가량 증가
LCR 정상화 앞두고 선제적 자금 수요
“아직 추세 변화로 보기엔 일러”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은행채가 오는 7월 은행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의 정상화 재개를 앞두고 지난달부터 순발행으로 돌아섰다. 순발행은 채권 발행 규모가 상환 규모보다 많은 상태로, 은행들이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추가로 확보했다는 의미다.
13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4월 은행채 순발행액은 10조499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1분기에는 발행액보다 상환액이 더 많았다. ▷1월 -4조9070억원 ▷2월 -4조2042억원 ▷3월 -1조1603억원이었다.
발행액 자체도 급증했다. 지난달 은행채 발행액은 21조7200억원이다. 1월 7조7400억원, 2월 11조4200억원, 3월 10조2800억원 대비 약 2배로 늘었다.
은행채 발행 증가 배경에는 LCR 규제 정상화 영향에 따른 은행의 선제적인 자금 수요 영향으로 풀이된다. LCR은 고(高)유동성 자산을 향후 30일간의 순현금 유출액으로 나눈 수치다.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해 이를 100%에서 85%까지 낮췄다가 이후 단계적으로 올리고 있다. 현재는 95%이며, 금융위는 7월 단계적 정상화를 재개할 방침이다.
정연홍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은행들은 작년 말 기준 이미 (LCR) 100%를 초과 달성했지만, 과거 경험상 규제 비율 대비 충분한 버퍼(초과분)를 확보하려 하기 때문에 조달 니즈가 발생한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최근 들어 은행 대출 증가세가 빨라진 반면, 예금 잔액은 크게 줄면서 은행의 자금 수요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셋증권은 5대 시중은행의 4월 기업 대출 잔액이 전월 대비 10조9000억원 늘어났다고 집계했다.
가계 대출도 지난 2월 출시된 신생아 특례 대출 영향으로 증가했다. 신생아 특례 대출은 출시 이후 3개월간 5조2000억원이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금 잔액은 줄어 전월 대비 33조원 감소했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가계 대출 증가의 대부분은 주택 담보 대출이 차지했는데, 그 중에서도 신생아 특례 대출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만 은행채가 순발행으로 추세 전환한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규제 정상화로 인한 충격은 일시적”이라며 “은행채 발행을 통해 확보한 현금으로 국채를 매수해 보유하면 LCR 비율이 일시에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규제 정상화로 인한 추가 발행 수요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시중은행의 대출 증가세는 눈여겨 볼만한 부분이지만, 아직은 추세 변화라고 보기에는 이르다”며 “대출 성장세가 2020년 11.5%를 정점으로 2023년 4.6%로 하향 안정화 추세에 놓였기 때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