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규제 강화로 상가·빌딩·토지로 투자 몰려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부동산을 향한 돈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주택은 거주를 위한 ‘똘똘한 한 채’로, 나머지 돈은 오피스텔과 상가, 토지를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오피스텔 시장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오피스텔 매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가 늘었다. ‘KB 오피스텔 시세지수’도 6월 기준 117.9로 기준점인 2019년 1월의 100 대비 17.9%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가격도 상승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오피스텔 평균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400만원 오른 2억6000만원으로 집계됐다. 5개광역시도 2400만원 상승한 1억8000만원이다.
토지와 상가 같은 상업용 부동산도 주택 대체 투자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2021년 부자들의 자산관리 트렌드’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주택은 실거주용으로 비중을 낮추는 반면, 기타 부동산의 비중을 높혔다.
하나금융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부동산 중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2%였다. 41%는 거주용, 투자용은 11%였다. 대신 투자 대상으로 상업용 부동산 34%, 토지 14%의 비중으로 분배에 나섰다.
실제 부동산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거래된 상업·업무용 부동산은 1만293건으로 지난해 7908건 대비 30% 늘었다. 이 가운데는 개인들이 대부분 거래하는 소규모 빌딩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이는 주택을 향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된 것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수도권 전역을 규제 지역으로 정한데 이어 지난해부터는 지방 주요도시로 그 대상을 빠르게 확대해 가고 있다.
지난해 8월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은 1%~3%에서 최고 12%까지 크게 올랐다. 또 올해 6월부터는 다주택자의 양도세 중과세율이 ‘기본세율에 10~20%포인트’ 가산에서 ‘기본세율에 20~30%포인트’로 인상됐다.
이 같은 주택에 집중된 규제가 토지와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의 선호로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 아파트가 아닌 ‘생활형 숙박시설’로 분류되는 부산 해운대구 ‘엘시티 더레지던스’ 전용 177㎡E형은 지난 2월 4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2016년 분양가가 24억6600만원보다 2배 오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