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홍 칼럼] 지속가능발전 ESG 정책의 현주소
최근 발표된 2025년 유엔 세계행복보고서는 한국의 행복지수 순위가 지난해보다 6등급이 하락해 세계 147개국 중 58위라고 밝혔다. OECD 회원국 중에서 최하위에 속한다. 소득수준과 수출규모 등으로 세계 10위 안팎인 경제대국 한국의 위상에 걸맞지 않은 행복 순위인 것이다. ‘행복’이란 양적인 경제지표 뿐아니라 삶의 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에 의해 측정된다. 국민총생산(GDP)과 국민소득(GNP)보다도 국민행복지수(GNH·Gross National Happiness)가 중요하다. 사회적 신뢰와 상부상조, 기대수명, 선택의 자유, 너그러움, 구매력 기준의 국민소득, 빈부격차, 부정부패의 정도 등이 GNH를 결정한다. GNH가 바로 ESG 실천과 직결돼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정책당국자는 별로 많지 않다. 정치인들이 사회적 신뢰, 상부상조, 너그러움을 실천하면 대화와 협치가 발전하고 극단적 대립 갈등이 사라질 것이다. 경쟁주의 교육에 압박받는 미래세대에게 인성과 사회성을 함양시키는
2025-04-02 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