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실업자 가운데 25~29세 비율이 20.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국내 실업자 5명 중 최소 1명은 Z세대(20~29세)란 얘기다. 20대 취업자 수도 지난해 2분기(4~6월) 이후 올해 3분기까지 내리 줄고 있다. 졸업 후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게 점점 힘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안이하게 경기 탓만 할 게 아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25~29세 실업자 비율은 2021년 19%에서 2022년 19.6%, 2023년 20.3%로 늘어나는 추세다. 2021년부터 3년 연속 1위다. 청년 실업률 자체로 보면 나쁜 편은 아니다. 지난해 한국의 20대 후반 실업률은 5.9%로 스페인(15.7%), 프랑스(9.9%), 캐나다(6.3%)보다 낮고, 미국(4.4%), 영국(4.2%), 일본(4.1%)보다는 조금 높다. 그런데 전체 실업자 중 20대 후반 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은 집중적으로 취업을 시도하는 이 시기에 구직 실패가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상황은 악화일로다. 올 2분기(4∼6월) 청년층의 신규 채용 일자리는 역대 최저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중 20대 이하의 신규 채용 일자리는 145만4000개로 전년보다 13만6000개(8.6%)나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는 25만6000개로 1년 전보다 7.6% 감소했고, 도소매업도 전년보다 1만5000개 줄어 역대 가장 적다. 건설업과 숙박· 음식점업의 청년 신규 채용 일자리도 각각 1만 개씩 줄었다. 코로나 19 유행 이후 경기 어려움으로 청년 비중이 큰 일자리가 줄고 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보다 당장 업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든 탓이 크다. 중소기업 회피 등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도 청년 실업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여기에 비정규직마저 고령화로 은퇴 후 재취업을 시도하는 장년층과 일자리 경쟁을 벌이면서 설자리가 더 좁아지는 처지다.

빠른 기술 변화에 기업과 고용 시장이 바뀌는 건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청년 일자리 정책도 발빠르게 맞춰 가야 한다. 청년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술교육과 인턴십 프로그램 확대는 물론 기업들이 신입채용을 늘릴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 대기업 중소기업간 임금과 복지 격차를 줄이는 일도 시급하다. 청년층이 일자리에서 소외되면 개인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에 따르면, 취업이 1년 늦어질 때 청년들의 10년간 평균 임금이 4~8% 낮아진다. 이들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국가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