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함께 쓰는 쉐어하우스가 대학생과 사회 초년생에게 주목받고 있다. 싱글족이 많이 거주하는 오피스텔이나 다세대는 공간을 독점하는 만족을 얻는 대신 좁은 공간, 부족한 살림살이, 더 많은 집안일, 외로움 같은 부담을 진다는 단점이 있다. ‘쉐어하우스’는 ‘가족이 아닌 타인과 주거를 공유하는 것’으로 혼자 살지만 혼자이고 싶지 않고, ‘더불어 살아도 독립적이고 싶은’ 현대인의 욕구를 잘 보여준다.
쉐어하우스는 말 그대로 거실, 부엌, 화장실 등 공동 공간을 함께 쓰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공용룸에서 식사와 취미생활은 공동으로 하고 개인생활을 하고 싶을 때에는 각자 방으로 들어가 휴식을 취하는 형태다. ‘쉐어하우스 스타일’은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선 이미 보편적인 주거 방식이다.
국내엔 2011년 서울 연희동 쉐어하우스라는 명칭으로 처음 소개됐다. 쉐어하우스 시장의 성장성을 알아보고 뛰어든 기업도 늘었다. 서울 시내 쉐어하우스의 방값은 보증금 50~100만원 이하에 월세 40만~60만원(1~2인실 기준)대 수준으로 1개월부터 계약가능하다.
음악 좋아하는 사람,와인 좋아하는 사람, 댄스나 요리 좋아하는 사람, 애완견을 좋아하는 사람, 일 때문에 결혼이 늦은 골드칼라나 ‘돌싱’ 등만을 대상으로 쉐어하우스를 설계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애완견 마니아 주택의 경우 1층에 동물병원 겸 애완견전용탁아소를 맡길수 있고 춤과 음악 등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공용룸을 만들어 서비스룸으로 제공하면 된다.
공급과잉 상태인 도시형생활주택과 다세대 주택에서 벗어나 쉐어하우스 같은 특화된 주택이 소규모주택사업자 입장에서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카페와 독서실 같은 공용룸까지 만들다보면 사업시행자 입장에서 수익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자체에서 이러한 입주민들 공용공간은 층수산정과 용적율에서 과감히 빼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건축주 입장에서도 도시형생활주택이나 다세대처럼 매력적인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을 수가 있다.
또한 도시형생활주택처럼 구분 등기도 가능하게 해, 호수별로 개인에게 분양하는 방식이 쉐어하우스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쉐어하우스는 도시형생활주택이나 다세대처럼 개별 분양하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운영하려면 초기 자금이 많이 들어간다.
하지만 건물을 통째로 임대해 입주자 관리는 주택임대관리업체에 맡기는 방식으로 쉐어하우스를 운영하면 초기자금을 1억원대로 낮출 수 있다.
쉐어하우스는 건물 임대료와 관리비는 비싸고 거주자에겐 비교적 저렴한 월세를 받기 때문에 그다지 큰 수익이 나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수익은 가능하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