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상황, 검사 신상 구체적…“전부 확인해봐야”

‘추가 로비 대상 지목’ 윤대진, “김봉현 이름도 못들어”

현직 검사들은 부정적 반응…“변호인 말에 의존, 불리한 점 왜곡”

‘김봉현 문건’ 놓고 검찰 안팎 엇갈린 반응…‘전관 변호사’ 조사 불가피
'라임자산운용(라임) 사태'의 주범으로 지목된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21일 2차 '옥중 입장문'을 공개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진원·안대용 기자] ‘라임 전주(錢主)’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두 번째 자필편지를 언론에 보내 강압수사 정황을 설명하고 자신의 무고함을 주장했다. 지어냈다고 하기에는 비교적 상세한 내용이 담겨있어 수사로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검찰 내부에서는 수감자의 의도가 담긴 편지에 휘둘리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상반된 반응이 대체적이다.

22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라임사태 관련 검사 향응수수 등 사건’ 전담 수사팀은 전날 김 전 회장이 지목한 전관 변호사 A씨로부터 압수한 휴대전화 사용 내역과 사무실 자료 등을 검토 중이다. 조만간 A씨도 직접 불러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전날 김 회장은 자신이 접대한 검사 2명을 구체적으로 특정했다. 과거 대우조선해양 수사팀에 있었던 검사들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검찰총장의 측근으로, 올해 1월까지 수원지검장으로 재직했던 윤대진 사법연수원 부원장을 향해선 구명로비를 벌인 정황도 추가로 폭로했다.

이에 대해 윤 부원장은 “어느 누구로부터도 김봉현 관련 청탁받은 바가 없다, 이름 석자 들어본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는 “작년 12월 중순경 수원지검은 영장을 청구했고, 직후 김봉현이 도주해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받았다. 황당하고 어이없을 따름”이라고 답했다. 김 전 회장은 편지에서 ‘수원지검장의 친형을 보호하고 있었다는 지인에게 5000만원을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라임 투자자들을 대리하고 있는 김정철 변호사는 김 전 회장의 편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믿을만 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검찰에서 있었던 일은 경험하지 않으면 진술하기 어려운 내용”이라며 “A변호사가 그런 뉘앙스를 준 것은 사실일 것이다. 일단 내용은 다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김 전 회장이 3개월 동안 약 60차례 검찰 소환조사를 받은 부분에 대해서는 신빙성 문제와 별개로 검찰이 무리한 수사를 벌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전직 부장검사는 “김봉현을 알지도 못하지만 석달 사이에 66회나 불러서 회유하는 조사를 반복했다는 부분은 검찰이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특수수사 경험이 많은 한 고검장 출신 변호사는 “추미애 장관이 (김봉현 조사) 횟수가 많다는 표현을 썼는데, 수사 구조나 형태를 몰라서 그런 것 같다. 수사횟수 가지고 말하기는 어렵고 사건 난이도에 따라 다른 거라 횟수가 많다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했다.

‘김봉현 문건’ 놓고 검찰 안팎 엇갈린 반응…‘전관 변호사’ 조사 불가피
라임자산운용의 전주(錢主)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 [연합]

반면 현직 검사들은 의혹을 일축하는 분위기다. 윤석열 검찰총장과 가까운 한 검찰 간부는 “총장 관련 부분은 전혀 신빙성이 없다. 무리해서 갖다 붙이려 한다”고 말했다. 김 전 회장은 윤 총장이 추미애 장관과 대립하던 시기에 ‘독재와 전체주의’를 언급하며 논란이 빚어진 직후 검찰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수사 태도가 돌변했다고 주장했다.

한 현직 부장검사는 “변호인이 수감중인 사람에게 한 말은 경제적 동기가 매개돼 있다, 검찰과 가깝다는 것을 과시해야 한다”며 “수감 중인 사람은 검찰이나 법 제도 전문가가 아니고, 변호인 말에 전적으로 의존하다 보니 잘 모르면서 조각난 사안에 대해 스스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백두산 호랑이’라고 한 것도 처음 들어보고, 억지로 연관성을 갖다 끌어 붙이려는 시도 같다”면서 “본인이 유리한 점만 강조하고 불리한 점은 왜곡하는 시도”라고 했다.

한 현직 검사장은 “사기꾼이 원래 구체적으로 잘 쓴다. 그러니까 사기꾼 아니겠느냐”면서 “편지 하나에 놀아나는 대한민국이 되어서 되겠나 싶다”고 말했다. 다만 검사 접대 부분에 대해서는 “그건 수사하고 있으니까 일부는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는 게 중론인데, 어느 조직이나 잘못하는 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아무리 검찰개혁 제대로 된다 한들 사고치는 사람은 있다”며 “그 부분은 이런 주장을 하지 않더라도 상시적으로 감찰로 당연히 도려내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