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수 전남대 명예교수 강연
우리 해안 침식속도 점차 빨라져
모래 깊이 20cm인 해수욕장도
생태계 특성별 맞춤 관리 시급
본보 ‘라스트씨’ 뒷얘기·토론도
“해수면 상승은 바로 서식지 파괴이자 ‘인류 괴멸’의 시작입니다”
전승수 전남대 명예교수는 지난 26일 서울 노들섬 다목적홀에서 열린 제2회 ‘H.eco Forum 2022’(헤럴드환경포럼)에서 “2300년까지 해수면이 최대 16m까지 상승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 교수는 국제퇴적학회 한국대표 및 아시아대륙 대표 등을 지낸 해양 생태계 권위자다. 그는 해수면 상승 가속화의 대안으로 연안별 맞춤형 관리 계획을 주문했다. 전 교수는 “지난 30년 동안 우리나라 해수면이 약 9cm 상승했고 그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며 “2100년 해수면이 1m 이상 상승하면 서해안 일부, 국토의 4%가 침식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수면 상승을 단순히 높이 문제라고 보는 건 착각”이라며 “해수면 상승으로 수심이 깊어지면 파고가 높아지고, 파고의 제곱승 만큼 해안에너지가 커져 침식이 가속화된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국내 해수욕장 모래를 파보면 바로 3~4m 밑에 갯벌이 나오기도 한다”며 “충청남도에선 모래 깊이가 불과 20cm가 안 돼 곳 소실을 앞둔 곳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영국 동부해안 일부는 침식으로 주거지가 무너지는 등 미국 동부해안도 마찬가지 현상을 겪는다”며 “선진국도 관리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해안침식 대응이 시급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전 교수는 “미국에선 해안마다 침식률을 계산해 10년, 30년, 60년 후 침식이 예측되는 해안범위를 도출했다”며 “10년 후 침식된다면 구조물을 불허하고 60년 남았다면 이전 가능한 구조물만 허가하는 식”이라고 전했다.
전 교수는 “미국 동해안의 경우 해안침식 막고자 몇 달 동안 모래를 쌓았지만, 하루아침에 사라지기도 했다”며 “첫 번째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겸손과 순응이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이날 포럼에는 헤럴드경제가 심층보도한 ‘라스트 씨(Last Sea): 한국 고래의 죽음’을 주제로 한 토론도 진행됐다. 문효방 한양대 해양융합공학과 교수는 “바다가 건강하지 않으면 인간도 건강할 수 없다”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바다에서부터 답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유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