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공동재보험 업무처리 가이드라인 마련
일부 보험사의 경우 신회계제도가 도입되도 여전히 금리 상승 위험에 노출돼 있다. 금융당국은 이에 대비,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 갭을 줄일 것을 권고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올해 신(新) 지급여력(K-ICS) 제도 시행 이후 처음으로 금융감독원에 K-ICS 비율을 보고하게 된 보험사들이 대체로 목표를 180%선으로 올려 잡으며 최대한 안정을 꾀하는 모습이다.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첫 K-ICS 비율 보고 전후로 보험사들 사이에선 적정 비율의 기준을 180%로 보는 컨센서스가 형성되고 있다. K-ICS 비율이 150%를 넘긴 보험사 중에서도 180%를 맞추겠다며 금감원에 경과조치 신청 의사를 타진한 곳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험사들은 매월 K-ICS 비율을 보고해 달라는 금감원의 요청에 따라 1월 말 기준으로 산출한 K-ICS 비율을 이날까지 제출하기로 한 상태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가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것으로, 대표적인 자본건전성 지표다. 지난해까지 사용되던 RBC 제도에선 부채를 원가로 평가하는 반면, K-ICS 제도에선 자산뿐만 아니라 부채도 시가로 평가한다.

보험업법은 보험사가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지켜야 할 지급여력비율을 10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업계에선 RBC 비율 150%선이 적정 수준으로 통했다. 그런데 K-ICS 비율은 이보다 높은 180%로 눈높이가 올라간 것이다.

여기에는 제도 변경 초기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K-ICS 비율을 운영하려는 보험사들의 방침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제도가 바뀐 첫 해이기도 하고 어떤 변수가 발생할 지 모르니 최대한 안정적으로 목표를 삼는 게 낫겠다는 판단”이라며 “150%보다는 높아야 한다고 다들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리 변수도 고려 요인이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해 금리가 인하 기조로 돌아서게 되면, 시가로 평가한 보험부채 가치는 원가 평가 때보다 더 많이 증가해 K-ICS 비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험사 관계자는 “150%만 넘는다고 괜찮은 게 아니라, 170~180%는 돼야 한다고 보는 분위기”라며 “지금처럼 금리가 높을 때는 상관없지만 향후 금리가 떨어지게 되면 K-ICS 비율도 나빠질 수 있는 만큼, 150%로는 안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주요 판매채널인 방카슈랑스를 쥐고 있는 은행들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은행들이 방카슈랑스로 판매할 보험상품을 결정할 때, 해당 보험사의 K-ICS 비율을 살펴볼 수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들이 아직까진 명확하게 K-ICS 비율 기준을 내걸진 않았지만, 1분기가 지나면 자체 기준에 미달하는 보험사 상품은 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일단 보험사들이 제출하는 K-ICS 비율 현황을 살펴보며 건전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회사들이 보는 심리적 마지노선이 170~180%인 것이지, 감독당국에서 적정 수준을 제시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보험사들은 당국이 1월 K-ICS 비율을 확인한 후 관련 언급을 하지 않을까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부 보험사들이 100% 달성도 위험한 상황으로 알려지면서 이 같은 관측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킹달러’ 다시 시작?…달러 던지던 환테크족 ‘갈팡질팡’[머니뭐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