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산물따라 색다른 팔도 설음식
설 명절의 대표 음식은 단연 떡국이다. 선조들은 ‘떡국을 먹어야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할 정도로 떡국은 한 해를 시작하는 세시(歲時) 음식으로 통한다. 길고 하얀 가래떡을 엽전 모양처럼 둥글게 썰어 새해에 재물이 많이 쌓이기를 기원한다는 의미도 있다.
떡국은 지역마다 먹는 풍속이 다르고, 그 의미도 다양하다.
맛의 고장 전라도에서는 닭장떡국을 만든다. 닭장은 집에서 담근 진간장에 닭고기를 썰어 넣은 뒤 졸여 낸 음식이다. 닭장떡국은 냉장고가 없던 시절 고기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방법에서 시작됐다.
경남 통영, 거제, 남해 등에서는 굴떡국이 유명하다. 남해안 앞바다 청정해역에서 잡은 굴로 국물을 우려낸다. 쇠고기 대신 굴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산물 특유의 시원하고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
남쪽 지방에 떡국이 있다면 북쪽 지방은 만둣국을 즐겨 먹었다. 벼농사를 하지 않는 북쪽 지방의 특성을 반영한 풍속이다. 원래 만두는 중국 음식이지만 고려시대 찐빵과 비슷한 모양의 만두가 전래됐다는 얘기가 있다.
초당두부로 유명한 강원도 강릉에서는 떡만둣국에 두부를 넣는다. 일명 두부떡만둣국이다. 두부의 담백함이 국물 맛을 한층 깊게 만든다. 황해도에서는 성인 남자 주먹크기 만한 왕만두를 주재료로 사용한다. 이름도 왕만둣국이다.
함경도는 꿩고기로 만든 꿩만둣국을 즐겨 먹었는데, 꿩이 잡히지 않을 때는 닭고기로 대신했다. ‘꿩 대신 닭’이라는 말도 여기서 유래했다. 평안도에서는 소의 양지와 사태를 넣고 우려낸 국물로 만든 평양만둣국을 만들어 먹었다.
개성은 조랭이떡국이 유명하다. 가래떡보다 얇게 떡을 만들어 대나무를 이용해 누에고치 모양으로 빚는 게 특징이다. 조랭이떡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목을 조르는 형상에서 유래됐다는 설화가 있다.
설 차례상도 지역마다 다르다. 경기도는 다산과 풍요의 상징인 통북어를 구이적으로 만들어 차례상에 올린다. 녹두를 갈아 배추를 고명으로 넣고 만든 녹두전도 올린다. 생선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적게 쓴다. 예전에는 굴비를 올렸지만 요즘은 참조기나 가자미를 준비한다.
반면 경상도 차례상에는 생선류가 많다. 대구와 영천, 경주에서는 참상어살, 즉 상어고기를 구워서 올린다. 일명 ‘돔배기’다. 선비 정신을 중시하는 경북 지역에서는 한자에 ‘글월 문’자가 있는 문어를 차례상에 올린다. 안동에서는 차례상에 안동식혜를 올리는 것이 이색적이다. 삭히지 않은 엿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안동식혜는 소화불량의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남해안과 접하고 있는 경남 지역에서는 조기뿐 아니라 민어, 가자미, 방어, 도미 등 여러 종류의 생선이 차례상에 오른다. 지역에 따라서는 조개 등 어패류를 올리는 곳도 있다.
전라도에서는 홍어가 빠질 수 없다. 잔칫상은 물론 제사상에도 반드시 홍어를 제물로 바친다. 일부 전남 지역은 병어나 낙지, 꼬막 등을 차례상에 올린다.
충청도는 경상도 지역과 가까운 곳은 경상도 식으로, 전라도 지역과 가까운 곳은 전라도 식으로 제사 음식을 마련한다. 충청도만의 특징이 있다면 바로 향누름적이다. 도라지, 파, 고비 고기를 길게 잘라 양념한 뒤 볶아 꼬치에 낀 음식이다. 닭고기 살로 만든 계적도 충청도의 특징이다.
제주도에서는 제주 앞바다에서만 잡히는 옥돔이 유명하다. 옥돔적을 올리기도 하고 옥돔을 올리기도 한다. 최근에는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바나나, 파인애플 등을 차례상에 올리는 가정도 있다. 반면 육지와 달리 밤과 대추는 거의 올리지 않는다.
강원도는 대부분 산간지방인 만큼 나물과 감자, 고구마를 이용해 제사 음식을 만든다. 평창 지역은 특산물인 메밀전을 반드시 제사 음식에 올렸고, 송이버섯처럼 귀한 버섯은 소적으로 구워내 차례상에 올렸다.
차례상에 올려놓지 말아야 할 음식도 있다. 털이 많은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 과일로 알려져 있어 제사를 모실 때 쓰지 않는다. 같은 이유로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 붉은 팥도 차례상에 올려놓지 않는다.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가 들어간 생선은 하급 생선으로 여겨 차례상에는 올리지 않는다.
최진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