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중재나서…CJ ENM-딜라이브 첫 대면 자리
-입장차 극명…중재에도 난항 예고
-콘텐츠기업·방송플랫폼사업자 신경전으로 확대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콘텐츠 정당한 대가 받아야"(CJ ENM) vs "거대 콘텐츠 기업의 갑질" (딜라이브)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놓고 갈등이 극에 달한 CJ ENM과 딜라이브가 9일 첫 '담판' 자리를 갖는다.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재에 나섰지만, 입장차를 좁히기까지 적지않은 난항이 예상된다. CJ ENM은 딜라이브에 송출을 중단하겠다는 '블랙아웃'을 통보하고 '초강수'를 둔 상황. 빠르게 재편되는 유료방송 시장에서, 콘텐츠 기업과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간의 신경전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첫 협상 테이블…중재도 '난항'
CJ ENM과 딜라이브는 과기정통부 주재로 9일 첫 협상 테이블에 나선다. 두 기업의 갈등이 극에 달하자, 과기부가 협상의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앞서 CJ ENM은 딜라이브를 비롯한 인터넷TV(IPTV), 케이블TV 업계에 15~30% 가량의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요청했다. CJ ENM은 tvN, OCN, 엠넷 등 13개 채널을 보유한 대형 콘텐츠 사업자다. 20% 인상을 요구받은 딜라이브가 이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CJ ENM은 이달 17일 딜라이브에 채널 송출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과기부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의견을 좁히기는 쉽지 않은 상태다. CJ ENM은 '블랙아웃' 통보에 이어, 지난 6일에는 딜라이브 측에 가입자에게 채널공급 종료를 고지하라고 요청했다. 사실상 '블랙아웃'을 밀어 붙이겠다는 것이다.
딜라이브 측은 "정부의 중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막공지를 강요하고 있는 CJ ENM은 시청자 보호 의지가 있는지 의심할 수 밖에 없다"며 "현실과 동떨어진 사용료 인상은 미디어산업 전체를 위축시킬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CJ ENM 측은 "지상파, 종합편성 채널의 프로그램 사용료가 인상됐지만 CJ ENM은 수년째 동결됐다"며 "콘텐츠의 정당한 대가를 찾기 위한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과기부 또한 추가 중재 방안까지 염두하고 있는 상태다. 과기부 관계자는 "단 한차례로 중재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논의 향방을 보고 필요하다면 추가 대응을 마련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콘텐츠 vs 케이블, 신경전까지
딜라이브 외 CJ ENM과 타기업의 협상 추이도 주목된다.
CJ ENM는 수신료 인상을 요청한 곳 중 약 50%와 인상 협상이 마무리 된 것으로 전해진다. 나머지 25%는 인상을 전제로 협상을 진행 중이다. 나머지 25%는 딜라이브처럼 인상에 난색 표하고 있어 향후 갈등이 추가 확산할 수 있는 변수도 남았다.
콘텐츠 기업과 유선방송사업자 간의 신경전으로까지 확대될 조짐도 보인다. 전국개별SO(유선방송사업자)발전연합회는 입장문을 통해 "대형 콘텐츠 사업자의 일방적인 요구가 개별SO를 또 다른 위기로 몰아넣지는 않을까 우려된다"며 "SO의 매출과 가입자가 지속 감소하는 상황에서 가입자당 실질적인 수신료는 동결이 아닌 인상"이라고 CJ ENM을 저격했다.
유료방송 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콘텐츠 기업의 달라진 위상을 대변한 사례라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콘텐츠 기업과 방송 플랫폼 사업자의 유료방송 주도권 싸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