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분위 가구소득 구입 가능 주택량 1년새 3만호 줄어

-강북 전용 59㎡ 1년새 2억원씩 올라

-패닉 바잉 국면서 강북 소형 상승률 19%로 가장 커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지난 1분기 서울의 가구별 월 소득은 513만원으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통계청의 가구당 가계 수지 가운데 5인 이상 사업체 월급여를 환산 해 중간값(3분위 기준)을 낸 것이다. 이를 기준으로 20년 만기 원리금 상환 기준의 대출을 받을 경우 구입 가능 주택가격은 4억5204만원(주택 구입액 중 30%는 보유자금으로 충당 가정)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은 서울에서 이 같은 조건으로 구입가능한 아파트 재고량이 22만5000호로 분석했다.

그러나 다음달 발표되는 2분기 통계에선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 중저가 아파트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1년 전 같은 시뮬레이션 하에서 서울에서 구입 가능한 아파트 재고량은 25만7000호로 현재보다 3만2000호가 많았다.

“만료앞두고 1억원 인상 약속했어도 세입자 원하면 5%만”[임대차보호법 Q&A]
14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창문에 붙은 매매·전세 가격 안내문 [연합뉴스]

시장에서 느끼는 체감은 그보다 더하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강북 주요 지역 역세권 아파트는 1년 새 2억원씩 올랐다. 노원구 상계주공 1단지(고층) 59㎡(이하 전용면적)은 이달 6억25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썼다. 1년 전 실거래가는 4억8000만원이다. 도봉구 창동의 동아청솔 같은 규모도 1년 새 5억원에서 이달 6억4000만원으로 상승했다.

1억원을 모으려면 서울 가구 월 소득 513만원을 한 푼도 쓰지 않더라도 20개월을 모아야 한다. 3040세대가 ‘패닉바잉(가격이 오를 것이란 공포심에 매수)’에 나서는 이유다.

새 아파트 값은 10억원 턱밑까지 올랐다. 동대문구 휘경SK뷰 59㎡는 연초 8억4500만원에 거래되던 것에서 이달 9억원에 손바뀜했다. 전년 동기 거래가는 7억9000만원이었다. 은평구 수색동의 입주 1년차를 맞은 DMC 롯데캐슬 더퍼스트 59㎡는 9억5000만원에 팔렸는데, 이는 분양가 4억8000만원보다 두 배다.

전문가들은 잇따른 규제에 따른 주택매수심리가 이상 과열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거시경제 상황 등을 고려하면 집값이 잠잠해져야 맞다”면서 “패닉바잉이 올린 집값”이라고 말했다.

‘오늘이 제일 싼 서울 집값’, 강북 소형마저 10억

강북 핵심지 소형 몸값은 이미 10억원을 훌쩍 넘은지 오래다.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 1단지 59㎡는 13억7000만원에 손바뀜됐고, 성동구 e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도 같은 규모가 올해만 반년새 1억원이 올라 12억9000만원에 팔렸다.

59㎡는 평형 환산시 20평대로 3인 가구가 생활하기 알맞은 규모로 인식되고 있다. 실거주 수요가 처음으로 내 집 마련 시 접근하는 규모로, 강북 59㎡의 집값 상승에 따른 수요자들의 불안 심리는 더욱 확대될 수 있다.

실제 패닉바잉 상황에서 가장 집값이 많이 오른 영역도 강북 소형이다. KB국민은행이 면적별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시계열로 집계한 결과, 강북 14개구의 소형(60㎡이하)이 1년 상승률 1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 기간 3억 9251만원이던 강북 소형 아파트 평균 값은 4억6765만원으로 올랐다.

권대중 명지대 교수는 “실거주 목적의 내 집 한 채 있어야 한다는 소유 의식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면서 “이 수요를 만족시킬만한 공급 대책이 나와야 진정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