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 본사 전경.[BNK금융그룹 제공]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은행권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계열사 지원에 나섰던 지방금융지주들도 곳간을 잠그고 있다. 유상증자 등 실탄 지원 대신 충당금을 쌓고 ‘각자도생’에 나서는 분위기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올해 증권, 운용 등 계열사에 증자 계획이 없음을 알렸다. 앞서 BNK금융지주는 비은행 강화를 위해 BNK투자증권에 2018년, 2020년, 2021년에 각각 2000억원씩 유상증자을 통해 자본확충을 지원했다. BNK자산운용, BNK벤처투자에도 실탄을 지원하며 자본력을 채워줬었다.

BNK금융 관계자는 “올해의 경우 리스크관리 등에 중점을 두고 전체적인 재무 방향을 검토할 것”이라며 “당분간 증자에 대해서는 별다른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그간 수차례 계열사 증자를 책임지며 자본금 확충을 도왔으나 최근 대내외 금융상황을 고려해 속도조절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실제 BNK투자증권의 경우 이번에 결산배당을 하지 않았다. 지분 100%를 가진 지주와 ‘안주고 안받기’에 나선 것이다. 지주에 배당 대신 충당금 확대 등을 통해 선제적인 버퍼 관리를 주력하기로 했다. BNK자산운용 또한 그간 자산성장률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상승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DGB금융지주도 상황은 비슷하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손실흡수능력 확보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계열사에 대한 지원 등은 추후 상황을 보고 살펴볼 문제”라고 말했다.

DGB금융지주는 지난해 하이투자증권에 대한 지원에 나선 바 있다. 하이투자증권이 지난해 3월 발행한 신종자본증권 2000억원을 인수했을 뿐 아니라 사상 첫 공모회사채 발행에 DGB금융지주가 지급보증을 선 바 있다. 지주의 지원 하에 하이투자증권은 자기자본을 지난해 3분기까지 1조4238억원으로 끌어올렸다.

하지만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색 등으로 상황이 악화되자 리스크 관리로 기조를 틀었다. 하이투자증권은 지난해부터 충당금 확보에 나선 상태다. 실제 DGB금융지주는 지난해 1308억원의 특별충당금 가운데 1120억원을 하이투자증권 부동산 PF에 충당했다.

대내외 우려가 상존한 만큼 금융지주들의 리스크 조이기는 더욱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한 차례 고비는 넘겼지만, 여전히 리스크 불씨가 살아있는데다 무작정 지원에 나서기에는 자본여력도 한계가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 또한 각 금융권을 만나 매번 리스크관리를 당부하고 있다.

허리띠를 조이는 지방금융지주와 달리 5대 금융지주들은 올해에도 몸집 불리기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손실흡수능력을 충분히 쌓은데다 현금도 넉넉해 적절한 딜이 나오면 인수합병(M&A) 혹은 투자를 시도할 전망이다.

주담대 받으려면 ‘인뱅’으로?…금리 격차에 시중은행 떠나는 고객들[머니뭐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