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 7·10 대책 이후로도 서울 아파트 상승
-7·10 이후 6억원 이하 아파트 절반이 신고가
-강남 고가 아파트도 수억원씩 오르며 가격 회복
-규제에도 ‘오른다’ 예상 점점 강해져
[헤럴드경제=성연진·양영경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정부의 시장 안정화 정책 속에서도 떨어질 줄 모르고 있다. 당초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6·17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이후 7월 중순께 대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7월 중순이 되기도 전에 7·10 대책을 추가해 규제 수위를 강화했지만, 규제 내성이 생긴 시장에는 좀처럼 통하지 않는 모양새다.
특히 6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의 문턱을 낮춘 7·10 대책 이후, 해당 가격대에선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그렇다고 고가 주택이 잠잠한 것도 아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역시 가격이 오히려 올랐다. 강남의 랜드마크 단지들은 다시 3.3㎡당 1억원까지 오르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힘을 못쓰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7·10 이후 6억원 아파트 둘 중 하나 ‘신고가’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0일 대책 발표 후, 팔린 3억~6억원대 중저가 아파트는 56채다. 이 중 절반 이상인 30채는 ‘신고가’에 팔렸다. 계약일 기준 30일 내 신고되기 때문에, 실제 거래는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상당수 거래는 한 달 새 1억원 가까운 상승세를 보였다. 노원구 상계주공12단지(고층)는 41㎡(이하 전용면적)가 지난 6월 3억원대에 거래됐지만 이달 14일에는 4억3000만원에 팔렸다. 성북구 정릉동 경남아파트 50㎡도 한 달 전 4억5000만원에서, 정부 대책 발표일인 10일 5억3850만원까지 뛰었다.
중저가 아파트의 거래량도 증가했다. 중저가·중소형 단지인 강서구 방화그린아파트는 올 들어 거래량이 86건으로 지난해 전체 거래 규모인 48건보다 80%가 늘었다.
정부가 집계한 숫자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국감정원은 이달 13일 기준, 9억원 미만 중저가·중소형 아파트가 몰린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지역의 아파트값이 각각 0.31%, 0.35%, 0.34%씩 올랐다고 밝혔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초고가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세금 중과로 강북의 중소형·중저가 아파트에 대한 실거주 수요자들의 관심은 앞으로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 아파트, 규제 묶어도 ‘팔자보다 사자’…다시 신고가
고가 아파트의 집값도 잡히지 않고 있다. 특히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잠실동이 속한 송파구는 지난달 22일 이후 0.37% 올랐다. 삼성·대치·청담동이 속한 강남구도 0.26%, 서초구는 0.25% 상승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해당지역 인근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가격이 뛴 것이다.
실거래가도 다시 전 고점을 회복하고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84㎡는 이달 33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다시 3.3㎡당 1억원 가까이 올랐다. 지난 3일 강남구 도곡렉슬 84㎡도 26억55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 아파트의 지난달 같은 규모 거래 8건의 평균 매매가 23억5750만원보다 한 달 새 무려 3억원이나 올렸다.
지난해 입주한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는 지난달 30일 84㎡가 최고가인 28억3000만원에 팔렸다. 이전 거래가격 22억원대에서 6억원 가까이 상승했다.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심리도 강해지고 있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6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 결과, 지난달 서울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 121.5에 비해 28.6포인트 오른 150.1로 집계됐다. 중개업소 2300여곳을 설문해 파악하는 이 지수는 115 이상을 상승 국면으로 본다.
이는 매매거래량에도 반영됐다. 현재까지 파악된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만3600여건을 넘어, 2018년 9·13 대책이 나오기 직전인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부동산 거래 신고기한을 고려하면 거래량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