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 쿵, 불의의 사고로 6만 마리가 죽었다 [지구, 뭐래?]
로드킬로 부상 당한 고라니를 신고한 뒤 지켜주고 있는 한 시민 [국립생태원·정현주 제공]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피할 수가 없었어요. 집에 도착해 바퀴에 막걸리 뿌려주는 정도가 제가 할 수 있었던 전부였습니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미안하다”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물)

지난해 6만3989마리의 야생 동물이 도로에서 죽었다. 동물 찻길 사고, 이른바 ‘로드킬’로 인한 사망이다. 이는 6만 명 이상의 운전자들이 야생 동물과 충돌 사고를 경험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울타리나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의 저감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에도 로드킬로 인한 사망 동물 수는 줄곧 늘어나고 있다.

“미안하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 쿵, 불의의 사고로 6만 마리가 죽었다 [지구, 뭐래?]
충북 제천시 인근 중앙고속도로에 로드킬된 고라니 사체 [한국도로공사]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7일 국립생태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동물이 도로에서 차에 치여 사망한 사고가 15만4556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드킬은 해마다 증가 추세다. 지난해에는 총 6만3989마리가 도로에서 차에 치여 죽었다. 2018년(1만6812건)과 비교하면 5년 새 약 4배로 늘었다. 2019년에는 2만1397건, 2020년 1만5107건, 2021년에는 3만7261건의 로드킬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를 가장 많이 당한 동물은 고양이였다. 2019~2022년 고양이가 5만7076마리가 차에 치여 죽었다. 이어 ▷고라니 4만5424마리 ▷너구리 8790마리 ▷개 5532마리 ▷노루 300마리 ▷오소리 898마리 ▷멧돼지 709마리 순이었다.

이조차 파악된 사고일 뿐, 더 많은 동물들이 차에 치여 사망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다람쥐처럼 덩치가 작은 설치류는 통계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많아서다. 실제 로드킬을 당한 동물은 연간 10만 마리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안하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 쿵, 불의의 사고로 6만 마리가 죽었다 [지구, 뭐래?]
[환경부]

로드킬이 줄어들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국내에 도로가 너무 많다는 데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1만2977㎞(2020년)의 도로가 건설돼 있는데, 최근 5년 간 평균 1000㎞의 도로가 연장됐다.

국립생태원은 지난해 12월 발행한 ‘로드킬과 로드킬 조사 방법’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토지 1㎢ 당 1㎞ 이상의 도로가 건설돼 있다”며 “너구리의 평균 행동권이 0.8~1.2㎢인 것을 감안하면 행동권 안에 1㎞ 이상의 도로가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선형 개발에 의한 생태축의 단절은 생물다양성의 감소, 개체군 고립, 로드킬 등 생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과 운전자의 안전, 경제적 손실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덧붙였다.

“미안하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 쿵, 불의의 사고로 6만 마리가 죽었다 [지구, 뭐래?]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환경부]

이런 상황에서 로드킬을 줄일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사고가 자주 나는 곳에서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는 것이다. 야생 동물 유도 울타리, 주의 표지판, 구간 단속 카메라 설치 등이 있다.

실제 효과도 입증됐다. 로드킬이 자주 발생하는 50개 구간(2019년)에 이같은 저감 시설을 설치했더니 2년 뒤 로드킬이 80.2% 줄었다. 유도 울타리를 설치한 24개 구간에서는 85.1%의 높은 저감률을 보였다. 두 종류 이상의 시설을 함께 설치했을 때도 로드킬이 79.9% 감소했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해 사고 다발 구간 50곳 중 46곳을 제외하고 새로운 사고 다발 구간으로 총 80곳을 선정했다. 내년까지 이중 62곳에 유도 울타리를 설치하고, 26곳에 LED 사고 주의 표지판을 설치하고 있다.

“미안하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 쿵, 불의의 사고로 6만 마리가 죽었다 [지구, 뭐래?]
야생동물 출몰을 알리는 야생동물주의 표지판 [한국도로공사]

운전자들도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사고를 면할 수 있다. 야생 동물 주의 표지판을 보면 속도를 줄이고, 동물을 발견했다면 피하도록 경적을 울리는 식이다.

내비게이션을 통해서도 로드킬 사고 다발 구간 정보를 미리 안내 받을 수 있다. 좀 더 적극 대비하고 싶다면 각 도로관리청이 로드킬 정보를 올리는 애플리케이션 ‘굿로드’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로드킬이 자주 발생하는 계절과 시간대를 알아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5~6월에는 야생 동물들의 봄철 먹이 활동이 활발한 데다 나들이객도 많아 로드킬이 빈발한다. 10~11월에도 너구리, 오소리, 족제비 등이 독립하는 시기다. 또한 야생 동물들은 대개 야행성이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사고 확률이 크다.

허영 의원은 “로드킬로 인해 동물은 물론 자칫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생명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국토부, 환경부, 국립생태원은 정확한 로드킬 통계 수집과 저감 대책 마련을 위한 지속적 예산 확보하고 도로 특성에 맞는 적절한 대책 수립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안하다, 다음 생엔 사람으로 태어나라” 쿵, 불의의 사고로 6만 마리가 죽었다 [지구, 뭐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