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자치구별 1곳 안배 계획

광진구·강남구·중구선 ‘0곳’ 선정

“집값 비싼 동네라 견제받았다” 불만 속출

“이대로 가면 도시 슬럼화”…공공재개발도 고려

“왜 우리만 외면”…신통기획 탈락지역 거세지는 ‘역차별’  후폭풍 [부동산360]
서울시는 지난 28일 민간재개발 사업인 '신속통합기획' 사업 후보지를 발표했다. 애초 자치구별 1곳 안배를 원칙으로 삼았지만 중구와 광진구, 강남구에서는 단 한 곳도 선정되지 못했다. 사진은 광진구 자양2구역 주택가 모습으로 도시재생사업에서 해제된 후 이번 신통기획에 공모했다.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사업 후보지가 발표됐으나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중구와 광진구, 강남구에선 단 한 곳도 선정되지 못하면서 잡음이 일고있다. 해당 지역 사업장 주민 사이에선 집값이 비싼 지역이라고 도리어 ‘역차별’을 당했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어 향후 서울시의 대응 과정에 이목이 쏠린다.

29일 정비업계와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전날 ‘민간 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통해 최종 선정된 후보지 총 21곳을 발표했다. 시는 자치구별 1곳을 민간 재개발 후보지 선정 원칙으로 삼았으나 신청지가 없었던 서초구를 제외하고 중구·광진구·강남구를 제외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구단위계획 등 관련계획과의 정합성에 부합하지 않거나 현금청산자, 공모 반대 등 주민갈등 문제가 있어 사업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며 “현시점에서는 재개발사업 추진이 부적합하다는 선정위원회의 의견에 따랐다”고 밝혔다.

광진구 자양2구역, 강남구 일원동 대청마을 등 해당 지역 사업장에서는 ‘역차별’ 내지 ‘이해가 안 된다’는 반발 기류가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각각 한강변 중심지와 강남이라는 지역적인 이점으로 인해 집값이 들썩일 염려가 크다는 이유로 견제받았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박노경 자양2구역 재개발추진위원장은 “시에선 표면적인 이유로 현금청산자들의 반대 민원으로 정비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낮게 봤다는데 그럴 거면 애초에 동의서를 왜 거뒀느냐. 동의율이라는 것 자체가 그 구역에 반대 의견도 있다는걸 전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양2구역은 동의율을 55.3% 모았고, 강남 일원동 같은 경우도 60% 과반수를 넘겼는데 현금청산자 반대 민원이 있다고 배정을 안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집값 비싼 동네라고 역차별받는 것 같은데, 실제 생활환경은 선정된 동네와 똑같이 집들이 노후되고 위생적으로도 낙후됐다”고 말했다.

송이철 일원동 대청마을B구역 추진위원장도 “동의율을 63.1%나 모았는데도 떨어졌다”면서 “신통기획의 취지가 주택 공급을 늘리는 것이라면 가장 수요가 많은 강남에서 임대아파트와 기부채납을 받아 아파트를 지으면 되는데, 왜 대청마을을 빌라촌으로 계속 남겨두려 하는지 모르겠다”고 반발했다.

송 위원장은 또 “표면적인 이유는 대청마을이 40년 전 지구단위계획에서 저층주거지로 개발됐기 때문에 여전히 아파트는 지을 수 없다는 것인데, 옆동네 개포만 해도 5층 주공아파트가 전부 30층 이상 아파트로 변모했지 않느냐”고 항변했다.

한편 같은 탈락지역에서도 오는 30일 시작되는 공공재개발 2차 사업지 공모에 대한 온도차는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박 위원장은 “자양2구역 소유주들은 도시재생에 대한 안 좋은 기억 때문에 공공재개발은 꺼리는 분위기”라며 “다행히 1월부터 탈락지역도 토지거래허가와 신축 행위 제한도 걸리게 되는 상황이라 추가적인 지분 쪼개기는 많지 않을 것 같아 다음 기회를 노려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반면 송 위원장은 “대청마을 B구역은 연립주택의 반지하 같은 경우 심하게 낙후돼서 한국인 세입자가 안 구해지고 외국인 노동자들이 들어오는 사태에 이르렀다”며 “여기가 말이 강남이지, 이대로는 슬럼화가 될 것 같아 공공재개발이라도 적극 추진해야 할 것 같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왜 우리만 외면”…신통기획 탈락지역 거세지는 ‘역차별’  후폭풍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