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 몰린 中, 美 반도체 기업 물었다…동맹국의 삼성·SK 매출 영향은? [비즈360]
마이크론 반도체 라인 모습.[마이크론 웹페이지 캡처]

[헤럴드경제=김지헌 기자] 일본 히로시마 정상회의를 통해 G7 국가들이 중국을 향한 공동 압박에 나서자 중국 정부는 역으로 미국의 주요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한 제재에 나섰다. 사실상 미국 반도체 기업을 향한 첫 제재다. 이에 맞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추가적인 ‘반격 카드’를 내놓을 경우, 중국 생산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의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산하 인터넷안보심사판공실(CAC)은 세계 3위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제품에서 ‘비교적 심각한’ 사이버 보안 위험이 발견됐다며, 중국 주요 정보시설 운영자들이 이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금지했다. 지난 3월 31일 마이크론에 대한 심사 개시를 발표한 지 50여일 만에 내려진 조치였다. 중국이 미국 반도체 기업에 대해 사이버 안보 심사를 통해 제품 구매 금지 결정을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AC는 “마이크론 제품에는 비교적 심각한 네트워크 보안 문제가 존재해 중국의 핵심 정보 인프라 공급망에 중대한 안보 위험을 초래해 국가안보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다만 어떤 위험을 발견했는지, 어떤 마이크론 제품이 영향을 받을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코너 몰린 中, 美 반도체 기업 물었다…동맹국의 삼성·SK 매출 영향은? [비즈360]
마이크론 건물의 모습[마이크론 웹페이지 캡처]
코너 몰린 中, 美 반도체 기업 물었다…동맹국의 삼성·SK 매출 영향은? [비즈360]

업계에선 이번 조치가 마이크론의 수익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마이크론은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1%가량을 올렸는데, 사실상 이보다 더 큰 폭의 매출 감소와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정동 테크인사이츠 박사는 “(마이크론의 매출로 알려진 11%는) 마이크론에서 생산하고 중국 내에서 소비돼 스마트폰들에 들어가는 낸드와 일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USB 등만을 고려한 것”이라며 “이것이 마이크론 제품의 전부일 것이라고 볼 순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실제로 다양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많은 일반 전자 제품 등에도 마이크론의 칩들이 다른 회사의 칩들과 함께 들어가므로 실제 미치는 영향 비중은 10%의 2배 이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중국의 조치에 따라 마이크론에 미치는 악영향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단 지적이다.

마이크론이 중국 기업과 경쟁 관계에 있다는 것도 향후 사태 악화 가능성을 점치게 하는 요소다. 마이크론은 낸드 플래시 사업 분야에서 중국의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와 함께 글로벌 최선두 자리에 오른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마이크론과 YMTC는 232단 적층 낸드를 시장에 양산하며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다. YMTC 입장에선 중국 조치에 따른 마이크론의 메모리 사업 쇠퇴가 내심 반가울 수 있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중국과 미국의 갈등 ‘불똥’이 한국 업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실제로 최근 미국은 자국에 반도체 공장을 지으려는 기업들에 대한 보조금 지급 조건으로, 10년간 중국 내 반도체 설비 증설을 금지하는 가드레일 조항을 꺼내든 바 있다. 향후 10년간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레거시 반도체 생산시설의 경우 생산능력을 10%까지 늘릴 수 있는 투자를 허용하고, 기술 수준이 높은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의 경우 생산능력을 5%까지 늘릴 수 있는 투자를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이같은 조치에 대해 국내 학계 일각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 문 닫으라는 소리”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전문가들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피해 가능성에 주목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당장 국내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이 크진 않겠지만, 미국과 중국의 칩 갈등 국면이 고조화되면서 한국기업들 입장에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마이크론 제품에 대한 중국의 구매 중지가 한국 기업들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달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이 마이크론의 자국 내 반도체 판매를 금지해 중국이 필요로 하는 반도체가 부족해질 경우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이 부족분을 채우는 일이 없게 해달라고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최 박사는 미국 요청대로 진행될 경우 “삼성과 SK하이닉스의 매출 감소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중국 제조폰인 샤오미, 비보, 오포는 삼성과 하이닉스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5(LPDDR5) D램과 낸드를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 경우 삼성은 D램 전체 (DDR, 서버, 그래픽 등 모두 포함) 매출 중 5~7% 감소가 예상되고, SK하이닉스는 3~5% 매출 감소가 예상된다”고 관측했다.

코너 몰린 中, 美 반도체 기업 물었다…동맹국의 삼성·SK 매출 영향은? [비즈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