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손잡고 오프라인 접점 확대

체험 콘텐츠로 브랜드 인지도 상승

플랫폼은 신규 고객 유입·거래액 증가

지난달 서울 성수동에서 열린 지그재그 뷰티페스타에 참여한 인디 뷰티 브랜드 투에이엔 부스. 전새날 기자
지난달 서울 성수동에서 열린 지그재그 뷰티페스타에 참여한 인디 뷰티 브랜드 투에이엔 부스. 전새날 기자

[헤럴드경제=전새날 기자] K-뷰티 수출 주역인 중소 인디 브랜드가 플랫폼과 손잡고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뷰티 사업을 확장하는 플랫폼은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뷰티 페스타’를 통해 중소 인디 브랜드의 오프라인 진출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처음 열린 ‘지그재그 뷰티 페스타’ 팝업에서는 중소 인디 브랜드의 비중이 약 50%를 차지했다. 지난주 열린 ‘무신사 뷰티 오프라인’ 팝업에서는 중소 인디 브랜드 비중이 70%에 달했다. 지난해 개최됐던 대규모 성수 페스타와 비중은 비슷하지만, 올해는 스킨케어·메이크업·디바이스 등 브랜드의 스펙트럼이 넓어졌다.

올리브영 역시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진 않았지만, 신규 브랜드의 참여가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어워즈와 페스타를 분리하면서다. 지금까지는 매출 기준 인기 브랜드, 즉 ‘수상 브랜드’ 위주였다면 어워즈 순위에 오르지 않더라도 부스를 차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페스타에 참여한 신진 K-뷰티 브랜드는 바이오던스, 아렌시아, 퓌 등이다.

중소 인디 브랜드는 플래그십 스토어, 로드숍 등 자사 제품을 선보이는 오프라인 매장이 없다. 뛰어난 제품력과 합리적인 가격을 갖췄지만, 체험이 중요한 화장품의 특성상 신규 고객 확보에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인디 브랜드의 경쟁이 더 치열한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에 등록된 화장품 책임 판매 업체의 수는 2023년 기준 3만1524개다. 지난 2019년 대비(1만5707개) 2배 이상 증가했다.

뷰티 사업을 확장 중인 플랫폼 입장에서도 온라인 연계 소비가 늘어나는 등 윈윈효과를 노릴 수 있다. 지그재그 관계자는 “뷰티 트렌드의 경우 변화의 주기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새로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수요 역시 높은 편”이라며 “다양한 인디 브랜드를 입점시켜 고객에게 더 폭넓은 브랜드 및 상품 선택의 기회를 제공, 이는 플랫폼 거래액 확대 및 고객 확보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무신사 뷰티 관계자도 “주목받고 있는 라이징 브랜드 위주로 선별해 선보이고자 했기 때문에 중소 규모여도 제품력을 인정받은 브랜드와 함께하게 된 것”라며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니즈와 트렌디한 브랜드를 보고 싶어하는 고객의 니즈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고 말했다.


newda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