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티셔츠 쪼가리 하나 제일 싼 걸 사려고 해도 20만원은 지불해야 하는 시대가 눈 앞에 왔습니다.”
의류 소싱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시제의 신인준 대표가 단언한 말이다. 마트나 유명 의류기업에 가면 ‘1만원 당 3장’ 씩의 묶음으로도 팔리는 티셔츠. 싼맛에 쉽게 사고 쉽게 버리는 티셔츠이지만, 그 생산 구조를 좀 들여다보면 험난한 미래가 보인다는 게 신 대표의 전망이다.
이렇게 티셔츠가 싼 건 우선 의류 공장이 밀집한 동남아 지역의 낮은 인건비 때문. 하지만 인건비 인상이 심상치 않다. 소재로 쓰이는 의류 소재도 각종 환경규제나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
신 대표는 “10년 내에 티셔츠 하나가 20만원을 지불해야 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단언했다 .비단 그 만의 생각도 아니다. 이미 많은 전문가들이 이 같은 ‘패션플레이션(패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을 경고하고 있다. 신 대표가 의류 생산에 AI(인공지능)까지 도입한 플랫폼 개발 사업에 뛰어든 배경이다 .
신 대표는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의류 제조업의 시장 가치와 가능성을 느꼈다”고 했다. 패션 마케터를 지망했으나 석사 과정 중 중국 항저우에서 명품 샤넬 생산 공장에서 실습을 하면서 의류 생산업에 뛰어들게 됐다.
의류학과 산업공학을 전공한 신인준 시제 대표는 사람과 기계를 가장 효율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대우세계경영연구회의 1기 수료생으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지의 공장에서 3년 넘게 실무를 익힌 뒤 의류 소싱 플랫폼 ‘모노리스’를 개발했다.
의류 산업의 자동화율은 0.2%에 불과하다. 같은 옷이더라도 사이즈에 따라 재질에 따라 모두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한 탓이다.
이를 자동화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탓에 의류 제조업이 여전히 인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전세계 의류 공급망에서 생산을 담당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인건비는 지난 10년 새 2배가 됐다. 원부자재 가격도 최근 2년간 280%로 늘어났다.
옷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최대한의 생산 효율을 내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던 중 나온 플랫폼이 모노리스다.
모노리스를 이용하면 의류 수주에서 출고까지 기간을 9개월~1년에서 6개월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공정의 모든 재봉틀의 진동을 측정, 데이터화 해서 최적의 생산 계획을 수립·관리하도록 돕는 방식이다.
신 대표는 모노리스를 자동차 내비게이션에 비유했다. 의류 생산량을 막연하게 예측하기보다 정체 구간이나 우회 경로를 파악하듯 실시간으로 생산 상황을 모니터링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다.
버려지는 옷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된다.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모노리스는 데이터에 기반해 실시간으로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 생산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갖고 있다”며 “낭비되는 자원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실 의류는 환경을 망치는 주범으로 꼽힌다. 빠르게 바뀌는 유행에 따라 지구에서 해마다 새로 만들어지는 옷은 1000억벌 가량. 이중 삼 분의 일은 버려진다. 국내의 의류 폐기물만 쳐도 2020년 연 8만t(2020년 기준) 2018년 보다 24.2% 늘어났다.
생산 과정에서의 환경오염은 더 크다. 티셔츠를 한 장 만드는 데에 3년 6개월 동안 마실 수 있는 물이 필요하다. 면화 등을 재배하는 데 드는 살충제부터 화학 염료, 미세플라스틱 등도 문제다.
신 대표는 “의류 공급망 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자원과 소비를 줄일 수 있다”며 “안 입는 옷을 버리거나 재활용하기 앞서 필요한 만큼만 생산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시제는 인천광역시에서 주관하는 투자 기업 발굴 플랫폼 ‘빅웨이브’에 참여할 스타트업 10곳 중 한 곳으로 5일 선정됐다. 또한 내년 미국 진출을 전제로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