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지지도 44.8%…9개월만에 최저치
국정동력 저하 우려에 ‘반전 돌파구’ 고심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 하락세가 심상찮다. 부동산 정책 실패와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과 성추행 의혹 등이 겹치면서 2030을 중심으로 한 민심이반이 가속화하고 있다. 청와대는 공식적인 반응은 자제한 채 ‘일희일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내부에서 ‘위기의식’도 읽힌다. 더 큰 문제는 상황을 반전시킬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과 경제 회복 등 난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지지율의 하락은 임기 후반 국정동력 저하로 연결될 수 있어 청와대의 고심이 깊어진다.
20일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3∼17일 전국 유권자 2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부정’(51.0%)이 ‘긍정’(44.8%)을 앞지르는 ‘데드 크로스’ 현상이 빚어진 것은 물론 ‘조국 사태’가 한창이던 지난해 10월 2주차(41.4%)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박 시장의 사망과 고인의 성추행 의혹이 커지고 부동산 정책 엇박자로 인한 불신이 팽배하면서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더 큰 문제는 뚜렷한 반등 요소를 찾기 어렵다는 데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회 개연설에서 잇단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도 시장 불안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정부는 투기 억제와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효과를 낼지 미지수다. 여기에 임기 후반 국정동력을 살려가기 위한 승부수로 띄운 ‘한국판 뉴딜’ 역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기 힘들다는 게 정치권의 평가다. 당장 국정 지지도가 하락하면 ‘한국판 뉴딜’ 또한 힘을 받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외교·안보로 눈을 돌려봐도 첩첩산중이다.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를 떠받쳐온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되레 발목을 잡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초청장을 받아든 주요 7개국(G7) 확대 정상회의 참여도 불투명하다.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재유행 상태로 접어든데다 일본 등 기존 회원국 반대가 만만찮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