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보고서 발간, 시장 선점 위한 3대 전략 제시
글로벌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연평균 8.1% 성장
“수직 계열화한 포트폴리오로 투자 성과 기대”
![플라스틱 재활용 밸류체인별 이슈 및 기업의 움직임[삼정KPMG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2/18/news-p.v1.20250218.0d7556546e6f44c595d53d7f6c4730a1_P1.png)
[헤럴드경제=심아란 기자] 지난해 에코비트와 KJ환경 등 폐기물 처리 기업이 조 단위 몸값에 인수합병(M&A)이 성사되면서 환경 기업이 재차 주목 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소비가 증가하면서 덩달아 몸집을 키우고 있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이 제시됐다.
삼정KPMG(회장 김교태)는 18일 ‘다시 불어올 폐기물 열풍,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성장세와 밸류체인별 이슈를 살펴보고 국내 기업의 투자 트렌드를 분석했다.
글로벌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2023년 694억달러에서 연평균 8.1% 성장해 2030년에는 1200억 달러(한화 약 173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시장 또한 2019년 1조6703억 원에서 연평균 6.9% 성장해 2027년 2조8486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세계 주요국들은 플라스틱 재활용률 목표 설정 및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를 통해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EU, 미국, 인도 등에서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정책과 제도적 지원을 확대하며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폐플라스틱 재활용 밸류체인은 크게 ▷수거·선별 ▷재활용 ▷제품 생산 ▷소비 총 네 단계로 구성돼 있으며 보고서는 각 단계별 주요 이슈를 제시했다.
수거·선별 단계에서는 인프라가 미흡하여 재활용 사업의 기반이 되는 고품질 플라스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재활용 단계에서는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물리적∙열적 재활용 대신 화학적 재활용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제품 생산 단계에서는 주요국에서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비율을 높이고 있어 기업들은 재생원료 활용 확대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사모펀드(PEF) 운용사 등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대기업의 경우 밸류체인 전반을 아우르는 전략적 투자 및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지자체 및 유관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폐플라스틱 공급망을 확보하고,화학적 재활용 기술 및 생산 설비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재생원료를 이용한 제품화 확대 방안도 마련 중이다.
스타트업은 AI, 빅데이터,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수거·선별 시스템 개발 및 화학적 재활용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PE의 경우 폐기물 산업 내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모색하며 밸류체인 수직계열화 및 지역거점화를 통해 폐플라스틱 재활용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선점을 위해 3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플라스틱 수거·선별부터 제품 생산까지 아우르는 사업 다각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PE의 경우 수직 계열화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투자 성과를 높일 수 있다.
현재 국내 생산설비만으로는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대폭 개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AI, 빅데이터, 자동화 기술 등을 접목하여 수거·선별 사업 역량 및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강화하는 등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기술 고도화를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가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 만큼,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제휴 및 전략적 기술 투자 등을 검토하며 국내외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각국 플라스틱 규제를 면밀히 검토하여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동근 삼정KPMG 재무자문부문 파트너는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심각성을 해소하고 순환경제를 구축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활용 전 밸류체인 확보를 위한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며 “수집∙선별 업체와 재생원료 제조업체 등을 함께 인수하는 형태로 지역별 밸류체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투자 성과를 높이는 새로운 성장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ar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