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는 세종, 부산에 해양수도개발청 제안”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4월 1일 전북 고창군에서 열린 제14회 수산인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4월 1일 전북 고창군에서 열린 제14회 수산인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해양수산부 공무원 노동조합이 10일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불안을 호소하며 공론화 절차를 주장하고 나섰다.

해수부 노조는 “공무원도 국민”이라며 “해수부 직원은 혼란과 불안 속에 업무 집중이 어려운 상태이고, 가족은 더 큰 고통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수부 부산 이전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와 시민사회, 정부, 해수부 노조 모두가 참여하는 공론화 절차를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최근 본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6%가 부산 이전에 반대했다. 본부의 공무원 정원은 623명이다. 계약직과 공무직을 포함한 인원은 903명이다.

노조는 또 “정책을 추진할 때 관계 부처와 긴밀한 협의가 필수적이지만 정부세종청사에서 멀어지면 정책 조율은 구조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북극항로 개척 등 국가적 과제는 단순한 기관의 위치 변경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정책 기획과 예산 조정 기능이 있는 본부는 세종청사에 두고, 부산에 해양수도개발청을 설치하면 부산의 해양수도 위상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당시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해 부산을 해양 강국의 중심도시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취임하자마자 국무회의에서 부산 이전 준비를 지시하면서 해수부는 본격적인 준비 작업에 나섰다.


joz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