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물가안정TF 구성…공정위도 예의주시

식품업체 가격 인상 정보 ‘사전 공유’ 가능성

담합 시선에 업계 ‘억울’…“현실성 고려해야”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초콜릿, 커피 등이 진열돼 있다. [연합]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초콜릿, 커피 등이 진열돼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라면값’ 발언에 식품업계가 숨을 죽였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한 차례 가격을 내린 적이 있지만, ‘그때와 지금은 다르다’는 말까지 나온다.

10일 정치권과 업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조만간 물가안정TF 인선을 마치고, 새 정부의 물가 정책에 발을 맞출 계획이다. 이 대통령이 비상경제점검TF에서 “라면값이 2000원까지 올랐다”며 물가 대책을 강조한 데 따른 조치다.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을 맡고 있는 이정문 의원은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현재 환율과 수입 원자재 가격이 하락 추세지만, 전반적으로 가공식품 가격이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 또는 가격 오름폭이 과도한 것은 아닌지 다양한 부처에 원인과 해결책을 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공정거래위원회에 담합 조사를 지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익명을 요구한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정부 공백 상황에서 가공식품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다”며 “담합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물가 대책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위는 식품제조업체를 겨냥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 4월에는 농심, 오리온, 해태, 롯데웰푸드, 크라운제과 등 식품회사 5곳에 조사관을 파견했다. 5개월 만에 17% 상승한 계란 가격도 주시하고 있다.

실제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체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9% 인상된 가운데 가공식품 물가는 4.1% 뛰었다. 같은 기간 외식물가는 3.2% 올랐다. 가공식품과 외식물가가 전체 물가에 영향을 미친 기여도는 각각 0.35%포인트, 0.46%포인트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1.9% 중 절반을 가공식품과 외식물가가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직원이 계란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직원이 계란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를 구성하는 74개 품목 중 지난해 11월 대비 물가 지수가 오른 품목은 53개다. 전체의 72%에 달한다. 정부의 가격 통제가 외식업계를 넘어 식품업계까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3월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외식업계에 메뉴 가격 인상 여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청했다. 소비자 이용률이 높은 햄버거, 치킨, 떡볶이, 피자, 김밥, 카페 등이 대상이다. 해당 업종은 밀, 원두, 닭 등 수입산 원재료를 활용해 국제 가격 변동에 민감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닭고기 가격 인상은 원산지 내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공급에 차질이 생긴 탓”이라며 “태국 등 대체 수입국으로 전환을 고려할 수 있겠지만, 단가는 계속 상승하고 있어 가격 안정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원재료뿐만 아니라 인건비 등 부가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며 “제조 가격은 몇 년 전부터 많이 올랐지만, 지난 정부에서 강하게 견제해 올리지 못해 이번에 인상한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농심과 오뚜기는 지난 2022년 9~10월 제품 가격을 올렸지만, 당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가격 인하 필요성’을 주장하자 이를 철회했다. 해당 발언 이후 팔도 등 다른 라면 제조업체는 물론 롯데웰푸드, 해태제과, 파리바게트, 뚜레쥬르 등도 가격을 인하했다.


newk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