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방부 영내, 과거는 산이었던 곳”

-“국방부 신청사 뒤 ‘용머리’가 용산의 머리”

-軍, 6월까지 8억들여 ‘용머리’에 테니스장 공사

-논란 일자 “용머리, 삼각지 아니고 청암동”

[김수한의 리썰웨펀]서울 용산의 국방부, ‘용산’ 깎아 테니스장 건설 논란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번지. 대한민국 국방부의 우편주소다.

정부 기관은 대부분 세종특별자치시로 옮겨갔지만, ‘수도 이전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판결로 청와대, 국방부, 외교부, 통일부 등 안보 관련 부처는 아직 서울에 있다.

흔히 ‘삼각지’로 불리는 서울 용산의 국방부 인근 환경은 길 건너 전쟁기념관, 벽을 경계로 용산 미군기지 등에 둘러싸인 하나의 견고한 성(castle)이다. 군의 출입허가를 받지 않은 사람은 출입이 불가능하다. 오직 일부 군인과 공무원, 그리고 특정 목적으로 출입이 허용된 민간인들 일부만 드나들 수 있다.

문제는 국방부 청사 영내에 서울 ‘용산(龍山)’이라는 지명의 뿌리가 있다는 설(說)이다.

◆“용머리 없애고 테니스장 추진? 보존해야” 우려도=일설에 따르면, 과거 서울 용산 일대는 평지가 아닌 야트막한 산이 있었고, 그 산의 형세가 용과 비슷하다 하여 ‘용산’이라 명명된 것이라 한다. 그런데 그 ‘용산’의 흔적이 국방부 청사 영내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국방부도 지난 수십년간 이런 설을 묵인해왔다.

국방부 영내는 평탄화가 상당히 진행됐지만, 여전히 산세가 남아 있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신청사에서 구청사로 넘어가는 언덕에 서면 이 일대가 과거 산이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국방부 영내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지역은 국방부 청사 뒤 ‘용머리’로 알려진 언덕이다. 국방부 역시 지난 2004년 용머리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며 ‘용산’의 명맥을 잇는 작업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곳을 기준으로 이태원의 시작점과 맞닿아 있는 녹사평이 ‘용의 꼬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라고 전해진다. 이런 몇 안 남은 미미한 흔적들이 과거 이 일대에 ‘용산’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이런 흔적들이 남기까지의 과정도 수월치 않았다.

과거에도 국방부는 영내 부지 활용을 위해 용머리 일대 개발을 시도했다. 그러나 ‘용산’의 상징인 이곳을 함부로 허물어서는 안 된다는 향토사학자들의 의견을 존중해 현재의 모습으로 남은 것이라 전해진다.

군 당국에 따르면, 현재 용머리 일대 모습은 지난 2004년께 형성된 후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당시 향토사적 관점에서 용머리 일대를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국방부 장관 지시로 신청사 지하주차장을 만들면서 나온 흙을 용머리 일대 동산으로 옮겨 ‘용머리’의 지세를 강화한 셈이다. 당시 이 동산에 무궁화를 가득 심어 지금까지 ‘무궁화 동산’으로 불린다.

지금도 이 용머리 일대에 서면 주변 경관이 볼 만하다.

그러나 용머리 주변이 훼손될 위기에 놓였다. 국방부가 테니스장 등 체육시설 조성을 이유로 이 용머리 일대에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 3월 20일부터 용머리 일대에 예산 8억1000만원을 투입해 테니스장과 풋살장, 라커룸 등의 조성을 추진, 오는 6월 17일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국방부 내 테니스장이 부족하다‘는 국방부 내 테니스 동아리 등의 요청이 있어 기존 테니스장 외에 한 곳을 추가로 건립한다는 것이다.

국방부 영내 근무 인원은 군 장교와 부사관 등 간부 4000여명, 병사 1000여명 등 5000여명에 이른다. 영내 체육시설은 축구장 등 10여개가 있으나 테니스장은 현재 1곳이다.

◆국방부 “조사 결과 용머리, 삼각지 아냐”=국방부 영내는 도시구역상 자연녹지구역에 있는 군사시설이다. 이에 따라 시설 공사를 위해서는 용산구청과 협의하면 된다. 국방부는 현재 용산구청에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고 사업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전통적으로 인근에 있는 산의 정기를 중요시하는 정서가 있다. 용산 역시 예외가 아니다.

국방부 근무자 일부는 ‘용산’의 ‘지기(地氣)’를 보호해야 한다며 용머리 일대 테니스장 신축공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용산을 보호하고 보존해야 용산에 터를 잡고 있는 국방부는 물론, 국가에도 도움이 될 텐데 용산을 없앤다는 건 용의 머리를 없애는 것과 같은 것 아니냐는 의견마저 나온다.

국방부는 11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이와 관련 “국방부에 근무하는 인원이 굉장히 많다”며 “테니스장이 한 곳밖에 없어 불편이 좀 많다. 영내 직원 후생복지를 위해 실시되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사학자들이 용머리라고 부르는 지역인 것을 알면서 거기에 테니스장을 짓는 거냐‘는 질문에 “지리학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확인해 보겠다”고 답했다.

이어 국방부는 11일 오후 용머리 훼손 논란이 이어지자 “용산 지명과 관련된 사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용산의 용머리는 국방부가 있는 삼각지 일대가 아니다”라고 설명하면서 공사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동여지도, 서울역사편찬원, 한국땅이름학회, 용산향토사료편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옛 ‘용머리’는 삼각지 일대가 아니라 용산 청암동, 원효로 4가 일대”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대동여지도에 ‘용산‘이 명확히 표기돼 있는데 인왕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자락이 만리동, 효창공원을 거쳐 서쪽으로 내려가 현재의 용산 청암동, 원효로4가 일대로 뻗었고 그 일대를 여러 사료에서 ‘용산’이라고 보고 있다”며 “현재의 국방부 영내는 목멱산(남산)에서 뻗은 산줄기가 남쪽으로 내려와 형성된 과거 둔치산 지역임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