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SEVP 인증 박탈…기존 유학생 학교 옮겨야”
“하버드대는 반미· 친테러적...중국 공산당과도 협력”
학교측 “불법…140여개국 외국인 재학” 성명서
美안보장관 “다른 대학으로 확대 가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2일(현지시간) 반(反)유대주의 근절 수용 등 교육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한 하버드대학교에 외국인 학생 등록자격을 박탈했다. 사진은 미국 하버드대 전경. [AFP]](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23/news-p.v1.20250523.3bb52f54112b449ca1462693c9d4cfc9_P1.jpg)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2일(현지시간) 반(反)유대주의 근절 수용 등 교육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한 하버드대학교에 외국인 학생 등록자격을 박탈했다. 하버드대는 이에 강력 반발했다.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하버드대가 법을 준수하지 않음에 따라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조치를 다른 대학으로도 확대할 수 있다고 했다. 놈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컬럼비아대 등 다른 대학에도 하버드대와 유사한 조치를 고려 중인지에 대한 질문에 “절대적으로 그렇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는 다른 모든 대학에 행동을 바로잡으라고 요구하는 경고”라고 말했다.
이에 반발한 하버드대는 이날 성명을 내고 “국토안보부의 외국인 학생 차단은 불법”이라며 “대학 측은 140여개국 출신 외국인 학생 및 학자의 수용능력 유지에 전적으로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안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하버드대는 SEVP 인증을 상실함에 따라 더이상 외국인 학생 등록을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기존 외국인 학생은 학교를 옮겨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학생으로서 법적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고도 덧붙였다.
SEVP는 유학생 비자 등을 관리하는 국토안보부의 프로그램이다. 대학들은 SEVP의 인증이 있어야 외국인 학생 등에 유학생 자격증명서(I-20) 등을 발급할 수 있다. I-20는 비자 승인에 필요한 핵심 서류다.
국토안보부는 “하버드대 본부는 반미국적이고 친테러리스트적인 선동가들이 유대인 학생을 포함한 많은 개인들을 괴롭히고 물리적으로 폭행하며 학습 환경을 방해하도록 허용하고 있다”며 “이로써 안전하지 않은 캠퍼스 환경이 조성됐으며, 이를 선동한 이들 중 외국인이 많다”고 밝혔다.
이어 “하버드대 본부는 위구르족 집단학살에 연루된 중국 공산당 준군사조직 구성원들을 초청하고 교육하는 등 중국 공산당과의 협력 활동을 촉진하고 이에 참여했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앞서 국토안보부는 지난달 16일 하버드대에 서한을 보내 캠퍼스 내 외국인 학생들의 범죄행위와 폭력 행위 이력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구했다.
당시 국토안보부는 4월 30일까지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SEVP 인증 종료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놈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캠퍼스 내에서 폭력과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한 것에 대해 책임을 묻고 있다”며 “대학이 외국인 학생을 등록시키고 그들이 내는 많은 등록금으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부금을 불리는 혜택을 누리는 것은 권리가 아니라 특권”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버드대는 올바른 일을 할 기회가 충분히 있었다”며 “그들은 이를 거부했다”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교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지만, 하버드는 이런 요구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거부해 갈등을 빚었다.
이에 트럼프 정부는 수년간 나눠 지급하는 3조원대 규모의 연방 지원금을 중단하는 등 보복 조치에 나섰고, 하버드는 이에 반발해 지원금 중단을 멈춰달라는 소송을 낸 바 있다.
하버드에는 현재 6793명의 유학생이 학위 과정에 재학 중이다. 2024-2025학년도 기준 전체 재학생의 27.2%를 차지한다. 올해 기준 하버드의 연간 등록금은 5만9320달러(약 8200만원)아며, 기숙사비 등을 포함하면 최대 8만7000달러(약 1억2000만원)에 이른다. 유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장학금 혜택이 적어 교육비 전액을 납부하는 경우가 많아 하버드 전체 등록금 수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sooh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