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기준 韓 증시 신용거래융자 잔액 18.6조
올해만 17.3% 증가…연중 최고치 경신 중
증시부양책 수혜 지주사·증권株 빚투 몰려
![[챗GPT를 사용해 제작함, 신동윤 기자 정리]](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6/10/news-p.v1.20250609.c7c147d54ce640fda968410bf4027f6f_P1.jpg)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국내 증시가 수직 상승하며 투심도 초강세를 보인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증가세를 보이고 있던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가 정권 초반 ‘허니문 랠리’에 빚을 내서라도 탑승하려는 투자자들로 연중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는 모양새다.
韓 증시 빚투, 연일 ‘연중 최고치’ 경신 중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5일 종가 기준으로 국내 증시 전체(코스피+코스닥) 신용거래융자 잔액 합산치는 18조5530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말(2024년 12월 31일) 15조8170억원과 비교했을 때 2조7360억원(17.3%)이나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해 8월 6일 기록한 19조554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치기도 하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연일 연중 최고 기록을 경신 중이다. 지난 5일 코스피 시장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0조8403억원으로 올 들어 가장 큰 수치를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선 7조7127억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 2월 28일(7조8528억원) 수준에 근접하는 모습이다.

앞서 코스피 지수가 장중 2900 고지에 육박(2024년 7월 11일 2896.43)했고, 코스닥 지수가 장중 880대 코 앞에 이르렀던(2024년 6월 13일, 879.52) 시점에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신용거래융자 잔고 합산치는 20조원 선을 넘어선 바 있다. 이후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우하향 곡선을 그리며 줄어들던 빚투 규모는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쇼크 등의 여파로 글로벌 증시가 급락했던 ‘블랙 먼데이(검은 월요일)’ 사태 이후 15조~18조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산 뒤 아직 상환하지 않은 돈을 의미한다. 그만큼 증시 내 ‘빚투’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지표로 꼽힌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통상적으로 증시가 추가 상승할 것이란 예상이 힘을 얻을 때 증가한다. 올해 들어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증가하고, 이재명 정부가 새롭게 출발한 상황에서도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의 추가 상승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이후 첫 이틀간(6월 4~5일) 빚투 규모는 2067억원 증가했다.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3.27포인트(1.55%) 오른 2855.77에 장을 마쳤다. 이재명 정부 첫 사흘간 코스피 지수는 156.80포인트(5.81%)나 급등했다. 지난 2일부터는 4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장 중 한때 2867.27까지 오르며 지난해 7월 17일(2868.58) 이후 11개월 만에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대화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43.72포인트(1.55%) 오른 2,855.77로 집계됐다. 지난 2일부터 4거래일 연속 상승이다.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6/10/rcv.YNA.20250609.PYH2025060915250001300_P1.jpg)
지주사·증권·에너지 믹스·조선/방산株에 쏠린 빚투, 왜?
향후 주가가 추가로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에 빚투가 몰린 대표적 섹터로는 ‘지주사·증권주(株)’가 꼽힌다. 이재명 대통령이 ‘코스피 5000 시대’ 개막에 대한 의지를 밝히면서 ▷상법 개정 ▷자사주 의무 소각 등 주주가치 제고를 통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 방안을 정책화하겠다고 예고한 데 따른 수혜 기대로 주가가 불기둥을 뿜고 있기 때문이다.
지주사주 가운데선 한진칼의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작년 말(2024년 12월 30일) 19억원에서 지난 5월 종가 기준 209억원으로 11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HD현대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작년 말 42억원, 33억원에서 지난 5일 338억원, 159억원으로 각각 8배, 4.8배씩 증가했다.
증권 업종 대표주에도 빚투가 많이 몰렸다. 미래에셋증권 산용거래융자 잔고는 작년 말 58억원에서 지난 5일 306억원으로 5.3배 증가했다. 여기에 한국금융지주(한국투자증권)와 대신증권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올해 들어서만 각각 4.3배(22억→95억원), 4배(10억→40억원)씩 급증했다.
올해 들어 종목별 신용거래융자 잔고 증가액 규모가 두드러졌던 섹터는 ‘에너지 믹스’ 관련주다.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2차 태스크포스(TF)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6/10/rcv.YNA.20250609.PYH2025060905050001300_P1.jpg)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무게중심을 옮기면서도 원전 역시도 안전이 담보될 경우 사용 연한을 연장하는 등 적절하게 활용하겠다는 ‘에너지 믹스’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두산에너빌리티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올해 들어서만 2502억원이나 늘어나면서 전체 코스피 상장주 중 증가액 1위를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작년 말 1702억원 규모였던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4204억원으로 2.5배 늘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체코 원전 수주를 시작으로 인공지능(AI)용 전력 수요 급증에 따른 ‘원전 르네상스’가 대세인 미국·유럽 시장을 공략한 선두 주자가 두산에너빌리티가 될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약속한 만큼 관련 수혜도 기대된다”고 짚었다. 이어 “국내 최대 해상풍력 업체란 점에서도 이재명 정부 ‘에너지 믹스’ 전략의 최대 수혜주가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국내 태양광 관련 대표주 한화솔루션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작년 말 721억원에서 지난 5일 기준 1543억원으로 2.1배나 커졌다.
올해 국내 증시 ‘주도주’ 역할을 담당했단 평가를 받는 조선·방산주도 빚투 증가세가 뚜렷했다. 올해 들어 관련 종목별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한화오션 2.8배(967억→2717억원), 삼성중공업 2.2배(663억→1490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배(813억→1633억원), 한국항공우주 2.9배(313억→912억원)씩 늘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에 원/달러 환율 하락세까지 더해지면서 외국인 자금 유입을 지속적으로 유인하는 모습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 증시의 소액주주 소외 및 거버넌스 이슈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요구해 온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정책 기대감과 밸류에이션 매력을 바탕으로 외국인 수급이 뚜렷하게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벌이고 있는 글로벌 무역 전쟁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정책, 각종 경제지표 발표에 따른 대외 변동성에 대비하며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realbighead@heraldcorp.com